LG경제연구원, 韓·中 20代 가치관 비교
서울 사는 20대 젊은이들 베이징·상하이 청년보다
도전 정신 부족하고 소득격차에는 더 민감
"부모 재력이 성공 좌우"…두 나라 모두 동의율 높아
[ 김유미 기자 ]
한국의 20대 젊은이들이 중국의 1990년대생인 ‘주링허우(九零後)’에 비해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성장과 취업난을 겪으며 한국 젊은이들이 자신감을 잃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가 이익보다는 소득 격차에 민감한 것이 한국 20대의 또 다른 특징으로 지목됐다.
○진취적인 ‘주링허우’들
LG경제연구원은 8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북경 상해 서울 20대의 가치관 비교’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20대는 다른 연령보다 낙관적이었다. ‘미래는 희망적’이라고 답변한 비중이 한국(81%) 중국(85%) 모두 높았다. 하지만 ‘도전과 기회로 가득찬 삶이 바람직하다’는 응답률은 한국(51%)이 중국(60%)보다 낮았다. 삶의 태도 면에선 한국 젊은이가 덜 진취적인 것이다.
양국 젊은이의 이런 특징은 개방에 대한 인식에서도 나타났다. ‘세계화에 따른 사람과 자본의 이동이 취업에 도움이 된다’는 응답 비중이 한국(44%)이 중국(76%)보다 낮았다. ‘세계화가 경제에 도움된다’는 항목에서도 한국(69%) 젊은이들은 중국(88%)보다 공감대가 적었다. 자국의 이익에 대해선 상대적으로 무심했다. ‘갈등을 빚더라도 자국 이익을 우선시해야 한다’고 응답한 사람은 중국(84%)이 한국(52%)보다 훨씬 많았다. 전재권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중국 20대들은 한국보다 희망적이고 도전적”이라며 “꾸준한 경제성장과 개혁·개방을 통해 실리를 추구하고 있는 중국의 모습이 반영됐다”고 분석했다. 중국의 주링허우 세대는 외동으로 자라면서 경제성장의 혜택을 누렸다. 소비지향적이고 외국 문화에 개방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불평등에 민감한 한국 20대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2만8338달러로 중국(8154달러)의 3.5배에 달했다. 그럼에도 한국 젊은이들이 더 소극적인 것은 저성장에 고령화가 겹친 국내 경제상황 때문이라는 분석이 많다. 한국의 청년 실업률은 올해 상반기 처음 10%를 넘어섰다.
팍팍한 현실 탓인지 한국의 20대는 사회 갈등에 큰 관심을 나타냈다. ‘부유층과 빈곤층 갈등이 심각하다’는 대답은 한국(86%)이 중국(72%)보다 많았다. ‘노사 갈등이 심각하다’고 응답한 비중도 한국(95%)이 중국(55%)보다 높았다.
‘소득 격차가 너무 크다’는 응답은 양국 모두 92%에 달했지만 복지에 대한 시각은 달랐다. ‘정부가 빈곤층 지원을 줄여야 한다’고 응답한 비중은 중국(50%)이 한국(10%)의 다섯 배였다. 같은 섦遺捉?정부 역할에 대한 생각 차이가 컸다.
○“부모가 돈 있어야 성공”
집단적인 성향은 중국 젊은이들이 강했다. ‘능력 있는 지도자가 모든 것을 결정하는 편이 낫다’고 응답한 비중은 중국(65%)이 한국(33%)보다 높았다. ‘이웃에게 도움을 주겠다’고 답한 사람도 중국(80%)이 한국(42%)보다 훨씬 많았다.
양국 젊은이의 가치관은 닮은 구석도 있었다. ‘부모의 재력이 성공에 중요하다’고 응답한 비중은 중국(86%)과 한국(81%) 모두 높았다. 27개국 가운데 각각 1위와 3위다. 미국(63%) 일본(60%) 프랑스(27%)에 사는 20대의 가치관과는 차이가 컸다. 출세하려면 환경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믿음이 한·중 젊은이들 모두 그만큼 강했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
2015 대한민국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 평가대상...종합대상 'NH투자증권'
[이슈] 40호가 창 보면서 거래하는 기술 특허출원! 수익확률 대폭상승!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