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노조의 요구가 점입가경이다. 노조는 올해 임단협 요구안에 ‘영업직군 자동 승진제’를 포함시켰다. 정규직 영업사원이 직군별 평균 판매대수와 근무연한을 채우면 자동 승진하게 해달라는 것이다. 평균연령이 47세를 웃돌 정도로 높고 인사적체가 심하다는 게 이유다. 하지만 평균 정도만 일하면 자동 승진시키라는 것은 인사권 침해다. 게다가 다른 직군 역시 승진 적체로 2~3년 누락되는 경우가 흔한데 영업직만 예외로 해달라는 것은 형평성에도 어긋난다.
노조의 무리한 요구는 이뿐만이 아니다. 직영점 수를 2017년까지 455개 이하로 유지하라는 것도 있다. 국내외 생산량의 노사합의 결정, 정년 65세 연장, 지난해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임금 7.8% 인상 등도 요구하고 있다. 이 중 직영점 수 제한, 국내외 생산량 노사합의 결정 등은 모두 명백한 경영권 침해다. 임금 인상안은 최근 회사 상황을 감안하면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수준이다.
현대차는 내우외환에 시달리고 있다. 지난해 4년 만에 최악의 성적을 낸 데 이어 올해도 고전은 계속되고 있다. 국내 시장점유율은 올 들어 계속 40%를 밑돈다. 지난달 미국 판매량은 전년보다 10% 넘게 감소했다. 중국 판매량 역시 8% 줄었다. 실적악화로 세계 500대 기업에서도 탈락했다. 주가는 13만원대로 떨어져 5년 전 수준으로 돌아갔다. 2008년 금융위기 때보다도 어려운 최악의 상황이라는 자체 진단이 나올 정도다.
그런데도 회사는 어떻게 되든 일단 눈앞의 이익부터 챙기고 보자는 게 노조다. 현대차 노조가 이렇게까지 된 데는 정치권이나 회사 측의 책임도 있을 것이다. 현대차는 1987년 노조 설립 이래 거의 매년 크고작은 파업을 벌였다. 그때마다 정부나 정치권에서는 회사 측에 노조와 합의할 것을 직·간접적으로 종용했다. 막대한 영향력을 지닌 현대차 파업의 파장을 우려해서다. 하지만 더 이상 이런 식은 안 된다. 노조는 기득권을 버리고 정부나 정치권, 회사 측도 생각을 바꿔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공멸뿐이다.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