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 중앙대 '사제갈등'에 숨겨진 3가지 이유

입력 2015-03-13 14:39
[ 김봉구 기자 ] 중앙대 캠퍼스가 시끄럽다. 대학 본부가 추진 중인 학사구조 개편안을 둘러싼 논란 때문이다. 교수들은 개편안의 핵심 내용인 학과제 폐지를 반대하고 나섰다. 의외인 것은 학생들의 비판이 학교 측보다는 교수들을 겨냥했다는 사실이다.

중앙대 교수 공동비상대책위원회는 12일 학내 교수 92%가 학사구조 개편안에 반대했다는 투표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논란을 ‘중앙대 사태’로 규정한 교수들은 “교육부의 근시안적 정책으로 인해 대학들이 취업학원으로 전락할 위기”라고 개탄했다.

곧바로 이 대학 총학생회가 규탄 성명서를 냈다. 타깃은 비대위였다. 교수들이 기득권을 지키려고 학생들을 파는 게 아니냐는 뉘앙스였다. “학사구조 개편에 따른 학생 피해를 우려한다는 교수들이 정작 학생들과의 소통은 없었다”, “(학과제 폐지와) 전공제 도입으로 인한 학생들의 피해를 논리적으로 설명하라”고도 했다.

총학생회 성명이 대부분 학생들 의견을 담은 것이라고 가정하자. 이 사제 갈등을 어떻게 봐야 할까.

단지 청년층이 보수화됐다거나 대학생 의식 수준이 떨어졌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전후 사정을 살펴보면 △기회비용으로서의 경쟁의 내면화 △취업을 매개로 한 세대 갈등 △학과제 폐지에 따른 학생과 교수의 권력관계 변화 등이 읽힌다.

기자는 2000년대 초 대학에 들어간 광역학부제 세대였다. 소속 학과 없이 1년간 기초과목을 배운 뒤 2학년 때 전공을 선택했다. 현재 중앙대가 추진 중인 학사구조 개편안과 유사한 상황이었다. 인기학과의 문은 좁았다. 학점이 낮으면 탈락이었다. ‘고등학교 4학년’이란 자조 섞인 표현도 나왔다. “비싼 등록금 내면서 원하는 전공 공부도 못한다”는 불만이 많았던 걸로 기억한다.

그때와 비교해 지금 대학생들이 달라진 점이 있다면, 경쟁해야 하는 현실을 인정하는 반대급부로 선택의 기회를 얻는다는 것이다.

이들도 전공선택제로 바뀐다고 해서 무한정 원하는 전공을 할 수 없다는 걸 안다. 그러나 총학생회는 “학생들의 전공선택 기회가 증가하는 건 사실”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전공에 만족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많다는 사실을 들어 ‘두 번째 선택’을 준비하는 시간을 주자고도 했다.

더 큰 요인은 취업을 둘러싼 시각차다. 황우여 교육부 장관은 지난달 대학생들과의 간담회에서 “학문보다 취업이 먼저”라고 말했다. 교수들은 교육 당국의 방향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였다. 이날도 ‘취업학원’이란 용어를 경멸적으로 사용했다.

학생들은 결을 달리 받아들인다. 취업이 뭔가. 일자리다. 밥벌이다. 대학이 취업학원으로 전락했다며 분노하기에 앞서 과연 교수들은 제자의 취업을 위해 얼마나 노력해 봤느냐는 것이다. 사제 관계 안으로 들어온 ‘변형된 세대 갈등’인 셈. 총학생회가 성명에서 교수들의 기본 의무인 학생 지도부터 힘 쏟마箚?주문한 이유다.

교수와 학생의 권력 관계 변화도 불가피하다. 기존 학과제에선 학생을 평가하고 학점을 부여하는 교수가 권력을 쥐고 있다. 반면 학과제가 폐지되면 교수의 ‘밥줄’인 학과의 존폐가 수요자인 학생들 선택에 좌우될 가능성이 높다.

물론 이렇듯 세대 갈등과 권력 관계로 몰아가는 것은 지나친 해석일 수도 있다.

다만 교수의 권위가 학생에게서 나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가르침을 받는 학생들부터 의구심을 갖는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교수들은 ‘학생들을 위한다’는 명분을 내세우기 전에 평소 제자와 얼마나 깊게 얘기하고 절절히 공감했는지 생각해 봐야 한다. 총장과 대학 본부를 상대하기 전에 학생들과 소통하고 그들을 설득하는 게 먼저다. 그게 맞는 순서일 것이다.

한경닷컴 김봉구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부동산 업계 '주택 아파트담보대출금리비교'로 3월 은행 특판금리 잡아라!
아파트 전세가율 70%육박..수요자들 '아파트담보대출금리비교'로 이자 절감해야..
[알림] 슈퍼개미 가입하고 스타워즈 왕중왕전 함께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