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정동영 상임고문, 네 번째 탈당한 이유…

입력 2015-01-11 15:50
새정치민주연합 정동영 상임고문(62)이 11일 '합리적 진보'를 표방하며 창당을 준비중인 신당 합류의사를 밝히며 당을 떠났다. 탈당 결행이라는 극단적 카드로 정치인생 마지막 승부수를 던졌다.

그 스스로 이번 선택을 "정치인생의 마지막 봉사"라며 배수의 진을 쳤다. "정권 교체의 희망을 발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의 새정치연합은 제가 실현하고자 했던 합리적 진보를 지향하는 당이 아니다" 며 "모든 비판은 달게 받겠다. 모든 걸 내려놓고 백의종군의 자세로 기꺼이 정권교체의 밀알이 되겠다"고 '탈당의 변'을 밝혔다.

4월 보선 출마설에 대해선 "새로운 인물로 신당의 가치를 보여주겠다는 게 (신당 추진체인) 국민모임 내부에서 논의된 내용"이라며 불출마 입장을 밝혔다. 신당 창당의 '후견인' 역할을 하되 전면에 나서는 모양새는 피하겠다는 것.

정 고문은 앞서 노무현정부 초기인 2003년 구 민주당을 선도 탈당하며 열린우리당 창당을 주도했다. 대선 국면이던 2007년 '탈노'(탈노무현)를 표방하며 열린우리당을 탈당해 제3지대 신당인 대통합민주신당에 합류했다. 2009년 4·29 재보선 당시 공천 갈등 끝에 탈당, 고향인 전주에서 무소속 출마했다가 이듬해 초 복당했다. 이번까지 합하면 네 번째 탈당이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