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사이트]성동+SPP+대선 조선3社 '합병론'제기하는 채권단

입력 2014-08-13 17:59
채권단 '퍼주기식 지원'에 한계...'先 구조조정 後 지원책' 합병, 공동경영 통한 비용절감 추진
"장기적으로 합병외 살아갈 방법없다"...채권단 9조원 쏟아부었지만 '밑빠진 독에 물붓기'절감


이 기사는 08월13일(04:25)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

성동조선해양, SPP조선, 대선조선 등 채권단 관리 조선사들간에 공동 경영이나 합병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조선업체들이 글로벌 장기 불황의 덫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면서 퍼주기식 지원에 한계를 느낀 채권단들은 합병 등을 통한 구조개편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12일 채권단 고위관계자는 “채권금융기관과 자율협약을 맺은 지 4년이 지난 조선사들이 장기적으로 합병하는 것 외에는 현재 살아날 방법이 없다”며 “채권단이 대주주가 된 상황이기 때문에 공동 지주회사를 설립하거나, 합병 혹은 공동 경영하는 다양한 형태로 비용을 절감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합병론은 2010년 채권단과 자율협약을 체결해 현재 자구계획 이행 5년째인 성동조선해양, SPP조선, 대선조선 등을 대상으로 나오고 있다. 자율협약 체결 1년째인 STX조선해양의 경우, 자율협약 5년째인 다른 조선사와의 형평성 문제로 합병논의 대상에서 빠져있다.

채권단 관계자는 ”성동조선해양, SPP조선, 대선조선 등의 합병 필요성에 대해선 채권단들이 모두 공감을 하고 있지만 충분한 법적 검토가 필요한 상태”라며 “합병 전 단계로 공동 경영은 3사간 합의만 있으면 당장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채권단은 3사간 △공동 구매로 건조원가를 낮추거나, △서로 도크를 공유하고 △공동 영업하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합병 추진에 장기간이 소요된다는 점이나 채권단들의 이해관계에 맞는 합병 대상과 형태가 각기 다르다는 점은 과제로 남아있다. 먼저 합병에 앞서 채권단의 동의 절차를 거쳐야 하며, 회계법인 등 전문기관의 가치평가가 선행돼야 한다. 또 만약 성동조선해양과 SPP조선이 합칠 경우, 경영정상화 막바지에 다다른 성동조선해양 입장에선 다소 위험을 떠안게 되는 반면 SPP조선은 합병 시너지가 커, 수출입은행(성동조선 주채권은행)과 우리은행(SPP조선 주채권은행)간 이해득실이 엇갈리는 문제가 나온다.

일단 채권단은 5년간 9조원을 3곳에 쏟아부었지만 ”밑빠진 독에 물붓기“였다는 평가에 따라 어떻게든 산업구조개편이 불가피하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최근 현대중공업이 1조원이 넘는 분기 적자를 기록하는 등 장기 업황이 어두워진 것도 ‘합병론’을 부채질하고 있다.

실제 채권단은 4년간 성동조선해양, SPP조선, 대선조선 등을 지원하는 데 9조원(대출·보증 포함, 신규 기준)을 쏟아부었다. 대출만기를 연장해주고, 신규자금을 지원한 것외 향후 출자전환까지 고려할 경우 10조원을 넘어서게 된다. 채권단은 성동조선해양에 1조5000억원 이상을, SPP조선에 5000억원 이상의 출자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이밖에 자율협약을 맺은 지난 5년간 주채권은행인 수출입은행 등 채권단은 성동조선해양에 지난 6월말까지 5조232억원을 쏟아부었다. 우리은행 등 채권단은 같은 시기 SPP조선에 2조9026억원을 쏟아부었고, 수출입은행, 산업은행 등은 대선조선에 1조669억원을 지원했다.

하지만 성동조선해양 매출은 자율협약을 체결한 2010년 2조4088억원에서 작년 1조115억원으로 반토막 났고, 영업손실은 더 커졌다. 같은 기간 SPP조선 역시 매출은 다소 늘었지만(9985억원→1조3899억원) 영업이익은 297억원에서 1596억원 손실로 바뀐 상태다.

이재원 동양증권 연구원은 “일부 업체들의 실적 리스크가 남아있어 조선업종의 주가는 부진한 흐름을 보일 전망”이라며 “업황 회복 기대감이 반영되기는 이른 시점”이라고 말했다. 중국발 리스크는 장기 전망을 더 어둡게 한다. 홍성인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중국의 조선해양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우리는 물량기준 1위 자리를 거의 내주었고 앞으로 그 자리를 다시 찾을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며 ”중국이 일반 상선, 기자재에 이어 해양플랜트 시장에도 본격 진입함으로써 중국발 가격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이어서 기술 및 품질기반 가격경쟁력을 갖고 있던 우리를 더욱 위협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



[한경스타워즈] 증권사를 대표하는 상위권 수익률의 합이 170%돌파!! 그 비결은?
[한경닷컴스탁론]또 한번 내렸다! 최저금리 3.2% 대출기간 6개월 금리 이벤트!
[한경컨센서스] 국내 증권사의 리포트를 한 곳에서 확인!!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