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토대지진으로 본 한일관계 … "일본 혐한·우경화 방치하면 안돼"

입력 2014-07-16 14:54
[ 김근희 기자 ] 최근 일본이 교과서의 관동(關東·간토)대학살 관련 기술에서 '학살'이란 표현을 삭제하는 등의 역사왜곡 시도와 관련, 간토대지진에 대한 연구와 진상 규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건국대 통일인문학연구단은 15일 학내 법학전문대학원에서 '통일영화제와 함께하는 제36회 콜로키움'을 열었다. 간토대학살을 다룬 재일동포 오충공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두 편이 상영됐고, 미국 이스턴일리노이대(Eastern Illinois University) 이진희 교수(사학과)의 강연이 이어졌다.

간토대학살은 1923년 9월1일 일본 관동지방 일대에 진도 7.9의 강진이 일어난 후, 일본군과 자경단이 한국인들을 무차별적으로 학살한 사건이다. 총 6661명의 한국인이 학살됐다. 실제 희생자 수는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교수는 "대지진 이후 일본 관헌이 계엄령을 선포하고, 유언비어를 퍼트렸다" 며 "한국인이라는 공동의 적을 만들어 내부 결속을 다지려 했던 것으로 해석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일본의 혐한시위 장면이 담긴 동영상을 보여주며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에도 재건을 핑계로 아베 총리와 정·재계 인사들이 역사를 왜곡하며 한국을 공동의 적으로 만들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일본에선 한국에 대한 헤이트스피치(특정인종에 대한 차별 또는 증오 표현)가 등장했고, 이에 참여하는 연령층도 다양화 됐다. 이 교수는 이런 현상에 대해 "계속 경기침체를 겪은 청년세대가 낙오자가 된다는 공포감에 우경화가 확산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일본의 필요성은 인정했다. 이 교수는 "일본인 중에도 한국을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이 많다. 통일과 동아시아 평화를 위해서도 일본을 협력자로 만들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를 위해 간토대학살에 대한 지속적 정보 수집과 연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김근희 기자 tkfcka7@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