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왕국'을 통해 본 경제성장
무역국가 '겨울왕국' 처럼 노르웨이도 수산물 교역
풍부한 자원·기술력 바탕
1인당 국민소득, 10만달러에 육박
식민시대·전쟁거친 한국
겨울왕국의 재건보다 더 극적인 성장 이뤄내
[ 김태호 기자 ]
지난 1월 대한민국이 디즈니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에 푹 빠졌었다. 겨울왕국은 아렌델 왕국의 두 공주 엘사와 안나의 ‘자매애’를 그린 애니메이션으로 누적 관객 수 1029만명을 돌파했었다. 이야기는 언니 엘사가 지닌 신비한 초능력에서 시작된다. 그녀는 손에 닿는 모든 것을 얼려버리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 엘사와 그녀의 동생 안나는 어린 시절 둘도 없는 친구였고 엘사의 초능력을 이용해 함께 눈사람을 만들며 놀곤 했다. 하지만 엘사의 초능력은 나이가 들수록 점점 강해진다. 엘사가 여왕에 올라 대관식이 열리는 날 엘사는 자신의 감정을 주체하지 못하고 아렌델 왕국을 모두 얼려버린다. 엘사는 결국 자책감에 왕국을 떠나고 안나는 언니를 찾아 험한 여정에 나선다.
자원과 무역의 나라, 노르웨이
겨울왕국은 아름다운 영상으로도 관객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신비함으로 가득한 오로라, 높은 산과 바다를 배경으로 한 대자연의 수려함을 담았다. 영화는 동시에 아렌델 왕국의 실제 배경인 노르웨이가 경제적 번영을 이룰 수 있었던 지정학적 특성과 산업의 역사를 간접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노르웨이는 국토의 절반 이상이 북극권에 속하고 빙하와 호수로 이뤄져 있다. 내륙에는 험준한 산맥들이 자리 잡고 있어 육로보다는 해로가 일찌감치 발달한 국가다. 수산물 석유 천연가스 등 천연자원에 무역경쟁력까지 겸비해 강소국으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2012년 세계은행 기준 1인당 국민소득은 9만9000달러.
노르웨이는 연어 대구 등 풍부한 어획량을 앞세워 세계 2위의 수산 수출국으로 자리 잡고 있다. 영화에서도 노르웨이의 수산자원을 보여주는 장면이 나온다. 쇼핑을 위해 찾아들어간 잡화점 주인 오큰은 안나에게 ‘루테피스크’라는 음식을 제공한다. 루테피스크는 노르웨이의 전통 대구 요리다. 시나리오 작가들이 실제 영화의 모델로 삼은 베르겐이라는 도시에는 지금도 이런 해산물 요릿집이 즐비하다.
연어와 담요를 바꾸는 원리
노르웨이는 무역강국이기도 하다. 지난해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333억달러. 아렌델 왕국 역시 교역이 활발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겨울왕국 곳곳에는 상선 등 수많은 선박이 등장한다. 아렌델 왕국은 이웃 교역국가인 위즐튼에 수산물을 팔고 담요를 수입한다.
영국의 경제학자 데이비드 리카도는 이런 국가 간 무역을 ‘비교우위’라는 개념으로 설명했다. <그래프1>은 아렌델 왕국과 위즐튼 두 나라의 생산가능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아렌델 왕국이 하루 동안 생산할 수 있는 연어는 최대 30마리다. 만약 연어를 생산하지 않고 이 노동력을 전부 담요 생산에 투입한다면 담요 역시 30장을 생산할 수 있다. 최대 생산량을 놓고 보면 아렌델 왕국은 위즐튼보다 모든 품목에서 생산효율이 높다. 이를 ‘절대우위’라고 한다.
‘비교우위’는 여기에 기회비용을 접목한 개념이다. 그래프의 기울기는 기회비용이다. 아렌델 왕국이 담요를 1장 생산하면 하루 동안 생산할 수 있는 연어는 29마리가 된다. 위즐튼은 담요를 1장 생산하면 하루 동안 생산할 수 있는 연어는 7마리 반이 된다. 기회비용을 따질 때 위즐튼은 담요를 만들 때 아렌델 왕국보다 연어 손실이 적다. 이 경우 위즐튼은 담요 생산에서 아렌델 왕국에 ‘비교우위’를 갖는다고 말할 수 있다.
또 아렌델 왕국은 연어를 1마리 생산해도 최대 생산 담요의 양은 29장이다. 기회비용은 1이다. 반면 위즐튼은 연어 1마리를 생산할 경우 최대 생산 담요의 양은 14장이 된다. 기회비용이 2가 된다. 따라서 아렌델 왕국은 연어 생산에서 위즐튼보다 ‘비교우위’에 있다. 리카도는 비교우위를 갖는 항목끼리 두 나라가 교역을 하면 서로에게 이득이 된다는 점을 이론적으로 입증했다. 절대적으로 모든 것이 열위에 있는 국가일지라도 교역을 하면 득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성장회계로 본 경제발전
노르웨이가 지금의 경제를 이룩할 수 있었던 것은 단순히 풍부한 자원과 무역만으로 이뤄진 것은 아니다. 여기에는 기술의 진보 등 다양한 요소도 포함된다. 이처럼 경제성장의 요인들을 분석하는 작업을 ‘성장회계’라 한다.
<그래프2>는 한 국가의 성장회계를 나타낸 것이다. 원래 A에 위치한 한 국가가 D로 성장하려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A에서 B로 이동한 것은 노동투입량 증가의 효과다. 노동 가능 인구가 늘어나거나 노동효율성이 높아진 결과로 투입량이 증가하고 국민소득도 미세하게 늘어난다. 그 다음은 B에서 C로의 이동이다. 이는 자본축적으로 이뤄진 결과라 볼 수 있다. 노동투입량은 그대로지만 국민소득은 증가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마지막 C에서 D점으로의 이동은 기술의 진보다.
진정 아름다운 기적은
노르웨이는 19세기 말 전기가 발명되자 외국에서 기술을 도입해 대규모 수력발전소를 설립했다. 영화 속 얼음계곡(피오르) 지역이 수력발전에 최적의 입지여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기술 진보는 1900년대 초반 노르웨이 제조업 발전의 자양분이 됐다. 저렴한 에너지를 바탕으로 조선산업, 제지산업이 발전하기 시작했고 2차 세계대전 이후엔 선박 산업까지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게 되면서 선진국에 진입했다. 1969년 12월 발견된 북해 원유 역시 기술력 향상의 결과라 볼 수 있다. 모든 것을 얼려버리던 엘사는 진정한 ‘사랑’이야말로 모든 것을 녹일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엘사는 자신의 능력을 이용해 아름다운 얼음과 만물이 풍성한 여름이 공존하는 아렌델 왕국을 만든다.
하지만 현실 속에서 아렌델 왕국의 재건보다 더 아름다운 기적은 한국 경제다. 일제 식민시대와 6·25 전쟁을 겪은 폐허 위에서 맨주먹으로 세계 8대 무역강국-무역 1조달러 달성이라는 기념비적 이정표를 일궜기 때문이다. 노르웨이처럼 천혜의 자원과 자연환경도 없었는데 말이다. 이제 누군가 이 열정적이고 가슴 벅찬 스토리를 영화 속 배경으로 등장시킬 때도 되지 않았을까.
김태호 한국경제신문 기자 highk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