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사이트]외환 송금 지연에…다시 불거지는 '차이나리스크'

입력 2014-05-13 08:54
이 기사는 05월09일(05:2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

한국 증시에 상장된 중국기업들의 ‘차이나 리스크’가 다시 부각되고 있다. 유가증권 상장사인 중국원양자원은 최대주주가 '정체 불명' 상태가 됐다. 코스닥 상장사인 이스트아시아홀딩스는 채권단이 투자금 회수에 문제를 겪고 있다. 두 회사 모두 중국 정부의 외환송금 승인을 받지 못해 사채 원리금을 지급 못한 탓이다. 회사의 지배구조가 흔들리면서 투자자들의 불안감은 높아지고 있다.

◆중국 외환당국 송금 규제에 지배구조 흔들
원양어업 회사인 중국원양자원은 반대매매로 결국 최대주주인 장화리 회장의 지분이 처분됐다. 중국원양자원은 지난 30일 최대주주가 장 회장에서 피닉스자산운용으로 변결됐지만 피닉스자산운용 측이 이를 처분해 최대주주가 누구인지 확인할 수 없다고 공시했다.

이런 결과를 초래한 것은 중국원양자원이 지난해 10월 발행한 200억원 규모의 신주인수권부사채(BW)에 대해 원리금과 이자를 갚지 못했기 때문이다. 중국 외환당국의 송금 규제가 이유였다. 이에 채권단은 올 1월 3개월 간 기한을 연장해줬지만 송금 해제는 이뤄지지 않았다. 결국 중국원양자원은 지난 23일 공시를 통해 “외환문제 해결이 불투명한 상황”이라며 “이에 채권단은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밝혔다. 장 회장의 보유 주식 982만주(12.82%) 중 922만주(12.04%)가 질권 설정이 돼 있어, 이 담보주식을 처분함으로써 최대주주가 변경된 것이다.

지난달 송금이 지연되는 가운데서도 장 회장이 운영자금 마련을 이유로 보유 지분을 대량 매도한 것 역시 주주들의 불안감을 높였다. 장 회장은 올 들어서만 세 차례에 걸쳐 주식을 팔아 지분율은 17.95%에서 12.82%까지 떨어뜨린 바 있다.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캐주얼 의류·신발 제조사인 이스트아시아홀딩스도 외환 송금 문제에 걸려 최대주주가 바뀌었다. 190억원 규모의 BW를 매입한 현대증권 등 채권단이 대주주 주식 처분권을 행사해 65.39%의 지분을 보유하며 최대주주가 됐다. 채권단 관계자는 “회사 측은 오는 6월까지는 중국 외환관리 당국의 국외 송금 승인이 날 것이라고 하지만 마냥 기다릴 수만은 없다”며 “이번주 내로 외화 반출 승인과는 별도의 상환 계획서를 제출받기로 했다”고 말했다. 어떻게든 상환액의 일부라도 먼저 받아내겠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일단 협의하겠지만 담보주식 처분권을 갖고 있는 만큼 매각 가능성은 언제든 열려 있다”고 덧붙였다.

◆다시 불거지는 ‘차이나리스크’
2007년 3노드디지탈이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이후 10여 곳의 중국기업이 국내 증시에 상장됐다. 그러나 감사의견 거절 등의 이유로 연합과기, 성융전자투자, 코웨이호링스 등이 상장폐지됐다. 2011년 중국고섬은 상장된 지 2개월만에 회계 부정 논란으로 거래정지되기도 했다.

당시와는 달리 이번 두 회사의 표면적인 문제는 외환 송금이 지연되고 있는 것에서 비롯됐다. 회사 측은 “올 들어 외환관리국의 심사가 엄격해져 송금이 안 되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상환 능력의 문제가 아니라 절차상 제동이 걸린 것인 만큼 송금 문제만 해결되면 자금 조달엔 이상이 없다는 것이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회계 부실 등엔 어느정도 대비할 수 있지만 이번 건은 중국 정부의 승인이 걸림돌인 만큼 마땅한 대책을 마련하기도 어렵다”며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더 큰 이유”라고 말했다. 대규모 물량이 시장에 풀릴지도 모른다는 우려로 요동 치는 주가에 개인 투자자들의 피해도 커지고 있다.

중국기업들의 불투명한 정보와 주주들과의 소통 부족에 대한 지적도 나오고 있다. 국내 상장된 중국 회사들의 경우 국내 투자자들 현지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기 힘들고 대주주의 면면에 대해서도 알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국사무소나 한국 공시대리인과의 연결도 쉽지 않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협의가 진행 중인 만큼 결정 내용을 빨리 공시로 알리는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윤정현 기자 hit@hankyung.com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