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호 지식사회부 기자 highkick@hankyung.com
[ 김태호 기자 ]
“중소기업의 가장 큰 고민은 인재 확보입니다. 우리가 그것까지 해결해주긴 어려워요.”
대학 컨설팅 프로그램이 ‘중소기업 애로 해결사’가 되고 있다는 기사를 취재하던 과정에서 만난 한 중소기업 컨설팅 담당자의 말이다. 컨설팅 프로그램을 이수한 상당수 중소기업에서 매출과 영업이익이 늘어나는 효과가 나타났지만, 중소기업의 근본 고민 중 하나인 인력난까지 해결해주지는 못했다는 얘기였다.
기자가 만난 중소기업 대표들이 현장에서 느끼는 고충은 심각했다. 고급기술 인력이 중소기업을 외면하다 보니 시급히 해결해야 할 기술적 애로 사항도 늘어만 가고, 자체 연구에서도 큰 성과가 나오기 어렵다는 하소연이 쏟아졌다.
중소기업 인력난은 어제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정부도 문제점을 인식하고 해법을 지속적으로 내놓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해법이 무용지물이 돼버린 사례가 적지 않다. 대표적 사례가 이공계 기술인력을 대상으로 한 ‘전문연구요원 병역특례 제도’다. 정부는 우수한 인력을 중소기업으로 유도하기 위해 작년 초 전문연구요원의 대기업 배정을 제한했다. 그 결과 이들의 대기업 행을 막았지만, 중소기업으로 가는 지원자는 늘지 않았다. 전문연구요원들은 중소기업 대신 대학 연구소 등을 택했다.
중소기업의 현실을 고려한 새로운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박태현 서울대 차세대융합과학기술원장은 “중소기업의 인력난은 어떻게 보면 자유시장경제 아래에선 어쩔 수 없는 측면이 있다”며 “중소기업에 맞는 인재를 채용하고 이 인재를 재교육해 ‘실무적 가방끈’을 늘려줄 수 있는 교육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실무적 가방끈’을 늘려주는 역할은 대학의 몫일 수 있다. 대학들이 제공하는 재교육 프로그램을 ‘산학 맞춤형 전공 과정’으로 개편한다면 중소기업 인력이 학위도 따고 보다 높은 전문교육을 받을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수 있다.
그런데 대학이 학위와 전공체계를 신설하려면 입학 정원 규제 등 여러 제약을 넘어서야 한다. 경제를 살리기 위해 연일 규제 개혁을 외치는 정부가 귀를 활짝 열고 이런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
김태호 지식사회부 기자 highk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