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속 팔리는 미분양 택지…토지시장에 '봄바람'

입력 2014-02-17 21:06
토지거래·가격 회복세
세종시·지방 혁신도시가 땅값 상승 주도
위례·동탄2 아파트 용지 입찰 '수백대 1'


[ 김보형 기자 ]
#1. 신세계그룹이 대형 복합상가를 개발 중인 경기 하남시 신장동 일대 땅은 지난해 평균 땅값이 10~20%까지 뛰었다. 신장동 A중개업소 김모 대표는 17일 “올 들어 땅을 보겠다는 문의가 늘고, 주말마다 두세 팀의 외지인들이 현지를 찾아오고 있다”며 “사람들의 문의가 늘면서 대로변 땅은 호가가 3.3㎡당 1000만원까지 간다”고 말했다.

#2.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18일 공개입찰에 부치는 화성시 동탄2신도시 시범단지 내 택지는 요즘 수요자들의 인기가 떨어진 주상복합 용지인데도 건설사들의 입찰 참여가 몰리고 있다. 작년 하반기부터 분양시장 호조가 이어지면서 수도권에서 유망지역 택지 구하기가 어려워지고 있어서다. 건설사들의 토지매입 움직임이 빨라지면서 LH가 보유한 수도권 미분양 택지가 빠르게 소진되고 있다.

◆미분양 택지 속속 팔려

혁신도시(공공기관이 이전할 지방 신도시)와 세종시 등 지방 주요 지역의 도시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작년 말부터 주택거래와 분양시장 회복 조짐이 가시화되면서 토지시장에도 ‘봄기운’이 돌고 있다.

토지거래가 늘면서 땅값도 강보합세로 돌아서고 있다. 1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땅값 상승률은 1.14%로 전년(0.96%) 수준을 뛰어넘었다. 거래량도 224만1979필지로 1년 전보다 9.6%(면적기준 0.2%)나 증가했다. 땅값 상승률의 경우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에는 못 미치고 있다. 하지만 작년 CPI가 2012년(2.2%)의 절반에 가까운 1.3%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땅값이 바닥을 찍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김명운 국토부 토지정책과장은 “토지시장은 작년 9월부터 보합세로 돌아섰다”며 “현재 집계 중인 올해 1월 땅값·거래량은 작년 동기보다 회복세가 더 뚜렷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토지시장 한파가 풀리면서 개인 수요자들은 물론 건설사와 부동산개발업체들도 토지 매입에 나서고 있다. 세종시와 하남시 등 개발업체들의 관심이 높은 지역은 물론 경북도청 이전 신도시 조성사업이 진행 중인 경북 예천군 등 이른바 ‘개발호재’가 있는 지역에는 발빠른 투자자들의 현지 방문이 크게 늘고 있다는 게 현지 중개업소의 설명이다.

공공택지 조성과 분양을 맡고 있는 LH의 ‘누적 미분양 토지’도 빠르게 줄고 있다. 3년간 미분양으로 남아 있던 광명시 주상복합 아파트 용지(2개 필지)는 최근 대우건설(783억원)과 호반건설(1790억원)에 팔렸다. 우미건설이 아파트 분양을 준비 중인 강원 강릉시 유천지구 택지에는 경쟁사가 100여개 몰렸다.

LH 관계자는 “위례·동탄2신도시 등 올해 매각 예정인 이른바 유망지역에는 택지매각 경쟁률이 수백대 1을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거래·가격 회복” 전망

한국감정원은 지난해 △두 차례의 주택거래정상화대책(4·1, 8·28대책)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 등 부동산 규제완화 △개발용지 활용 양성화(입지규제 네거티브 방식 도입) 등 토지시장 정책 호재로 올해 토지시장 회복이 작년보다 빨라질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이달에는 분당신도시의 15배에 달하는 287㎢ 넓이의 토지 거래 허가구역 해제 등 규제 완화까지 더해져 수도권 일대 땅값 상승폭이 커질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땅값 상승을 주도할 지역으로는 정부부처 이전과 공공기관 이전 예정지인 혁신도시와 세종시가 꼽혔다. 각종 개발공약이 쏟아질 6월 지방선거도 땅값 상승 요인으로 분석됐다.

박기정 한국감정원 연구위원은 “올해 토지가격은 0.9% 상승, 토지거래량은 6.8% 증가하는 등 전체적으로 낙관적이지만, 미국 양적완화 축소에 따른 금리 인상과 실물경기 침체 등이 변수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