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야 정치를 잘 모르지만 이조참판이나 되는 당신은 제대로 해야 하지 않겠는가"
‘소학’은 조선시대 가장 많이 읽힌 책 가운데 하나였다. 주희의 정치철학에 따라 만들어진 이 책은 국민교육 교과서다. 조선에서는 누구든 여덟 살이 되면 소학을 배웠다. 그런데 배우는 것을 넘어 소학의 화신이 되고자 한 사람이 있으니, 그가 바로 자칭 ‘소학동자’ 김굉필(1454~1504)이다. 사림의 계보로 보자면 김종직의 제자이자 조광조의 스승이다. 동갑내기 남효온은 다음과 같이 소개한다.
“김굉필은 점필재에게 수업하였다. 뛰어난 행실은 비할 데가 없었으니, 항상 의관을 정제했고, 부인 외는 여색을 가까이하지 않았다. 매일 소학을 읽어 밤이 깊은 뒤라야 잠자리에 들었고 닭이 울면 일어났다. 사람들이 나랏일을 물으면 언제나 소학이나 읽는 동자가 어찌 큰 의리를 알겠는가라고 했다. ‘공부해도 오히려 천리를 알지 못했는데, 소학을 읽고 나서야 지난 잘못 깨달았네’라고 시를 짓자, 점필재 선생이 ‘이것이 곧 성인이 될 수 있는 바탕이다’라고 높이 평가했다.”
남효온의 글은 이렇게 이어진다.
“나이 삼십에 비로소 다른 책을 읽었다. 열심히 후진을 가르쳐 그 문하생이 모두 스승처럼 재주가 높았고 행실은 도타웠다. 나이 들수록 도덕이 더욱 높아졌는데, 세상이 글러진 것을 알고는 재주를 감추고 세상을 피했지만 사람들은 그가 왜 그러는지 알고 있었다. 점필재 선생이 이조참판이 되었으나 나라에 건의하는 일이 없자 시를 지어 비판했다. 선생도 역시 시를 지어 대답하였는데, 대개 비판을 싫어하는 내용이다. 이로부터 점필재와 사이가 벌어졌다.”
이 글은 두 가지 서사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나는 김굉필의 행실, 또 하나는 김종직과의 관계다. 김굉필은 소학만 공부하고, 또 그대로 실천한다. 스스로 ‘소학동자’라고 부르며, 소학을 통해서만 자신의 삶을 구현하려 한다. 이런 실천적 자세를 스승인 김종직도 높이 평가한다. 하지만 김종직이 현실정치에 있으며 제대로 못하자 제자인 김굉필이 비판했고, 결국 둘 사이는 갈리고 만다. 그런데 이 두 가지 서사를 연결해 보면 다음 메시지가 완성된다. “나야 소학동자이니 정치를 모르지만, 당신은 이조참판이니 제대로 해야 할 것 아닌가.”
소학으로 도덕과 행실을 갖춘 김굉필이니까 높은 자리에 있는 김종직을 비판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다 보니 비판하기에 앞서 자연스레 자기를 검열하게 되고, 또 비판을 받아야 할 대상이 도리어 비판자의 윤리적 자격을 심사하는 이상한 지경에 빠지게도 된다. 이리 보면 “소학동자가 무엇을 알겠는가”는 언제든 “내 알바 아님”으로 흐를 소지가 숨어 있다.
서정문 < 고전번역원 수석연구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