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 2대 주주 KT&G, 지분 10% 매각 추진…왜?

입력 2013-12-26 07:44
보도전문 채널 YTN의 2대 주주인 KT&G가 YTN 지분 매각에 나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YTN의 2대 주주(지분율 19.5%)인 KT&G는 YTN 전체 주식의 10%인 410만주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고 조선일보가 26일 보도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YTN은 지난 24일 "KT&G가 방송법상 규정된 한도를 초과해 보유하고 있는 YTN 주식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작년 말 기준 KT&G의 외국인 지분율이 58.5%로 50%를 초과하면서 외국인 기업으로 분류돼 벌어진 일이다.

방송법은 외국인이 보도 전문 채널의 지분을 10% 이상 보유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KT&G가 '외국 자본'으로 분류되면서 YTN과 KT&G 모두 방송법을 위반하는 상황이 됐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 10월 KT&G에 '2014년 2월까지 외국 자본의 출자 제한 규정 위반을 시정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법 위반 상황을 해소하려면 KT&G는 10% 초과분인 9.5% 이상의 지분을 팔아야 한다. 현재 KT&G는 10%의 지분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지분 매각 작업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코스닥 업체인 YTN의 주식 거래량이 너무 적어 증시를 통한 지분 매각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올 초 4670원이던 YTN 주가도 2745원 (24일 종가)으로 41% 떨어졌다. 하루 거래량도 1000주~ 2만주 수준이어서 410만주를 모두 소화하기는 힘든 상황이다.

YTN의 경영이 악화된 것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YTN은 지난 10년간 연속 흑자를 기록했지만 올해 들어 3분기까지 누적 적자를 냈다.

종편 및 보도전문 채널 등장 이후 시청률 경쟁도 치열해졌다. YTN관계자는 "KT&G와 매각 문제를 협의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방통위 관계자는 "시정이 이뤄지지 않으면 최대 6개월 영업 정지 명령까지도 취할 수 있는 사안"이라고 말했다.

한경닷컴 김민재 기자 mjk1105@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박람회장 발칵' 주식 자동매매 프로그램 등장
▶ 별장으로 쓰면서 은행이자 3배 수익 받는곳?
▶'미인주'만 골라 잡는 주식계의 진정한 카사노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