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그룹의 사내유보율과 유보금이 최근 3년새 급증해 1668%, 477조원에 달했다.
20일 CEO스코어에 따르면 국내 10대 그룹의 금융사를 제외한 82개 상장 계열사의 사내유보금을 조사한 결과, 지난 6월 말 현재 477조원으로 3년 전인 2010년말 331조원에 비해 43.9% 늘었다.
이에 사내유보율도 1376%에서 1668%로 292%포인트나 상승했다.
사내유보금은 기업의 당기이익금중 세금과 배당 등으로 지출된 금액을 제외하고 사내 축적한 이익잉여금과 자본잉여금을 합한 금액이다. 이를 납입자본금으로 나누면 사내유보율이 된다.
유보율이 높을수록 재무구조가 탄탄하고 무상증자, 배당 가능성도 큰 기업으로 평가받는 반면 투자 등에는 소극적이라는 지적도 받고 있다.
그룹별로는 롯데그룹 7개사의 사내유보율이 5123%로 가장 높았다.
다만 2010년 5469%에 비해선 346%포인트 떨어진 수치로 제2롯데월드 등 공격적인 투자가 이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사내유보금은 26조5000억원으로 3년전 17조7000억원에서 49.5% 늘었다.
사내유보율 2위는 포스코로 3722%에 달했다. 7개사의 사내유보율이 2010년보다 342%포인트 상승했고 사내유보금도 37조3000억원에서 43조9000억원으로 17.7% 증가했다.
삼성그룹 13개 상장사의 사내유보율은 3709%로 그 뒤를 이었다. 2010년 2478%에서 3년새 1232%포인트나 높아졌다. 상승폭으로는 10대 그룹 중 최고다.
이들 계열사의 사내유보금은 2010년 108조원에서 50.1% 늘어난 162조1000억원에 달했다.
현대중공업의 3개 상장사의 사내유보율은 3340%로 2010년 2579%에서 760%포인트 상승했다. 사내유보금은 15조3000억원에서 19조8000억원으로 30% 가량 늘었다.
이어 현대자동차그룹 9개 상장사의 사내유보금은 2010년 50조5000억원에서 두배가량 불어난 100조6000억원으로 금액 순으로 삼성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사내유보율은 1926%로 10대 그룹 평균치를 약간 웃도는 수준이다. 국내외 투자가 많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나머지 SK, LG, GS, 한진, 한화 등 5개 그룹의 유보율은 평균을 밑돌았는데 GS 1135%, SK 822%, LG 737%, 한화 511%, 한진 211% 순이었다.
이중 SK와 한진은 사내유보율이 2010년에 비해 큰 폭으로 낮아졌고 LG와 한화는 거의 제자리걸음이었다.
그러나 사내유보금 규모는 SK가 55조7000억원으로 현대차에 이어 3위로 집계됐다. LG도 47조9000억원으로 4위였다.
반면 한진은 사내유보금이 2010년 5조4000억원에서 6월 말 현재 2조7000억원으로 10대 그룹 중 유일하게 50% 줄었다.
개별 기업으로는 통신과 음식료 등 내수 기업들의 성과가 돋보였다. SK텔레콤의 사내유보율이 3만7821%로 가장 높았고, 사내유보금만도 15조3000억원에 달했다.
이어 롯데칠성음료(2만9151%), SK C&C(2만8900%), 롯데제과(2만3258%), 삼성전자(1만8712%), 현대글로비스(1만533%), 롯데푸드(9927%), 롯데쇼핑(9780%), 포스코(9515%), 에스원(4795%) 순이었다.
10위권에 롯데 계열사가 4개나 속했고 삼성과 SK는 각각 2개씩 이름을 올렸다.
SK브로드밴드와 롯데그룹의 현대정보기술의 사내유보율은 각각 -21%와 -11%로 마이너스 유보율을 보였다.
이밖에 한진해운(6%), GS그룹의 코스모신소재(23%)·코스모화학(83%), LG유플러스(61%) 등 4개 업체도 100%를 밑돌았다.
기업별 사내유보금으로는 삼성전자가 137조8000억원으로 타의 추종을 불허했다. 2위 현대자동차(48조원)와도 3배가량의 격차를 보였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박람회장 발칵' 주식 자동매매 프로그램 등장
▶ 별장으로 쓰면서 은행이자 3배 수익 받는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