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강경파 버린 현대차 노조, 이젠 정말 달라져야 한다

입력 2013-11-07 21:53
수정 2013-11-08 06:02
현대자동차 노조위원장 선거에서 강성 후보들이 죄다 예선에서 탈락했다는 뉴스다. 5명의 후보 중 온건·합리 후보가 1, 2위를 차지한 반면 강성 후보 3명은 모두 하위로 밀린 것이다. 지난 2년간 장기파업에 툭하면 잔업·특근 거부를 벌여온 강경파에 대한 반감 때문이라는 게 현장의 분석이다. 특히 1차 투표에서 강경노선 3명의 표를 다 모아도 온건파인 1위 이경훈 후보에게 11%포인트나 밀렸다는 사실은 생산 현장 기류의 변화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현 집행부는 올해 임단협에서만 총 15차례 파업을 벌였다. 상반기 주간연속 2교대제 도입을 앞두고도 12차례 주말특근을 거부했다. 지난해 파업도 28차례다. 2년간 생산차질액은 2조7000억원, 역대 최대 손실이라고 한다. 생산하자는 노조인지, 생산을 방해하겠다는 노조인지 모를 지경이다. 그 많은 강경 파업으로 과연 무엇을 이뤘나. 파업이 반복될 때마다 귀족노조의 배부른 투쟁이란 비판이 쏟아졌고 회사의 신인도만 떨어뜨렸다.

8일 결선투표에서 온건 성향의 새 노조위원장이 나오게된 만큼 좀더 이성적, 합리적인 노동운동이 기대된다. 지금 노사관계에는 난제들이 쌓여 있다. 통상임금 산정, 근로시간 단축, 정년 60세 연장,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등 어려운 문제들이 한둘이 아니다. 노조의 자발적, 적극적 협력 없이는 풀기가 어려운 과제들이기도 하다. 현대차 노조는 이런 문제에서도 시금석 역할을 할 수 있는 곳이다. 받아들일 것은 받아들인다는 대승적 자세를 새 노조에 기대하게 된다.

지금 온건노선이라는 1, 2위 후보들조차 ‘60세 조건 없는 정년연장’ ‘주40시간 완전 월급제’ 등 무리한 공약을 내세우고 있다. 오랜 선거 관행의 지배를 받고 있다는 얘기다. 관행을 바꾼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 관행을 바꾸는 데는 회사 측의 단호한 노력도 따라야 한다. 현대차 노조뿐만 아니라 정치권이야말로 달라져야 한다. 현대차 노조를 부패시킨 것은 매번 노사협상에 개입해왔던 정치권이었다. 작은 희망의 불씨를 이제는 살려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