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硏, 시중 부동자금 767조 '사상 최대'…불안심리 확산

입력 2013-07-17 17:06
수정 2013-07-18 19:16
현대경제硏, 불안심리 확산 … 6개월 미만 상품에 묻어 둬

너무 많으면 부작용…생산활동 위축·금융 거품
"자금 선순환 구조 필요"




대기업 차장인 이준우 씨(42)는 3년 동안 부어 만기가 된 국내 주식형 펀드를 지난달 현금화했다. 다달이 100만원씩 넣어 원금 3700만원에 수익금 660만원을 더해 4360만원의 목돈을 쥐었다. 증권사 직원은 새로운 펀드 가입을 권했지만 증시 상황이 너무 불안해 일단 단기 상품인 머니마켓펀드(MMF)에 묻어 두고 있다. 잠시 넣어 둔다는 게 한 달 가까이 됐지만 마땅히 투자할 상품이 없어 고민이다.

○현금 포함 부동자금 814조원

지난 3월 말 기준으로 시중 부동자금이 760조원을 훌쩍 넘어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부동산 시장 침체에 주식·채권 시장마저 불투명해 단기 상품으로 돈이 몰린 탓이다.

단기 부동자금의 증가는 기업의 생산활동을 위축하고 ‘게릴라식 투자’로 자산시장 곳곳에 거품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지적이다.

17일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3월 말 현재 은행 증권사 자산운용사 종금사 등의 6개월 미만 단기 상품을 모두 더한 단기 부동자금은 767조8000억원에 달했다. 작년 말보다 26조1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직전 사상 최대였던 2010년 5월의 752조8000억원을 넘었다. 금융회사에서 나와 사람들의 지갑이나 장롱 등에 풀려 있는 현금까지 포함하면 814조5000억원에 달한다.

보고서는 또 가계-기업-정부 간 자금 흐름을 보여주는 한은 자금순환표상 단기 부동자금도 3월 말 925조4000억원인 것으로 추정했다.

박덕배 현대경제연구원 전문연구위원은 “작년 말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단기 부동자금 비율은 58.3%로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말 65%에는 못 미치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며 “최근 들어 이 비율도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경제와 금융시장 전반에 불확실성이 높아진 데다 주식 부동산 등 자산시장이 위축된 탓이다. 저금리로 인해 정기예금에 투자할 매력도 크게 낮아진 상태다.

○가계 부동자금 비중 늘어

최근 단기 부동자금의 증가는 가계가 주도했다. 한은 자금순환표상 가계의 단기 부동자금 비중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말 39.8%에서 3월 말 40.7%로 0.9%포인트 높아졌다. 반면 기업은 27.0%에서 25.9%로 떨어졌다.

금융권 내에서 시중 부동자금은 은행에서 증권사로 몰리고 있다. 은행으로 들어온 단기 부동자금 비중은 3월 말 67.3%로 2009년 말(73.4%)보다 6.1%포인트 하락했다. 종금사 비중도 1.4%로 1.7%포인트 낮아졌다. 반면 증권사 비중은 16.9%로 8.5%포인트 상승했다. 저금리 지속으로 금리형에서 실적형 상품으로 자금이 이동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박 전문연구위원은 “단기 부동자금이 급증하고 있는 만큼 자산 버블 현상을 유발하지 않도록 점진적으로 자금의 선순환 구조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2003년 카드 사태 이후 증가한 단기 부동자금은 2004~2006년 수도권 부동산 버블을 일으켰으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는 비수도권 부동산을 들썩이게 만들었다.

서정환 기자 ceoseo@hankyung.com




▶[화제] 급등주 자동 검색기 '정식 버전' 드디어 배포 시작
▶[공지] 2013 제 3회 대한민국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평가 대상!!
▶[한경 스타워즈] 대회 전체 수익 2억원에 달해.. 비결은?


▶ 9년간 동거하다 다른 남자 아이 낳고는…

▶ 女직원, 가슴파인 옷 입고 男동료 앞에서

▶ 아내에 변태적인 성관계 요구했다가…경악

▶ 권상우 '230억 빌딩' 사려고 이럴 줄은…

▶ 그루폰, 충격적인 '대국민 사기' 들통나자…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