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네마노믹스 - '인타임'을 통해 본 물가와 통화정책
주인공 살라스는 어머니와 빈민을 살리려 총으로 은행장 협박해 100만년 시간 시중에 풀지만 공장 폐쇄 잇따르고 사람들은 길거리로…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물가 더 오를 것이란 기대 생기면 초인플레이션 초래
커피 한 잔에 4분. 버스비는 2시간. 스포츠카 한 대 59년. 2011년 개봉한 영화 ‘인타임’에서 시간은 곧 돈이다. 지폐와 동전이 모두 사라지고 시간만이 화폐가 된 세상. 사람들은 일해서 시간을 벌고 그 시간으로 밥도 먹고 물건도 산다. 주의할 점은 한 가지. 주어진 시간을 모두 다 쓰고 잔여시간이 0이 되는 순간 심장마비로 사망한다. 시간이 별로 없는 사람들은 하루를 버틸 시간을 노동으로 사거나, 은행에서 빌리거나, 그도 안 되면 훔쳐야 한다. 주인공 윌 살라스(저스틴 팀버레이크 분)는 48시간 이상의 시간을 가져본 적이 없는 ‘시간 가난뱅이’다. 하루 노동으로 하루 수명을 연장하는 그는 이른바 날품팔이다. 그의 유일한 희망은 출근 때마다 점심값 30분을 슬쩍 챙겨주는 어머니(올리비아 와일드 분)뿐이다.
시간이 화폐인 세상
가상현실을 다룬 시나리오를 충실히 이행한 것이겠지만, 살라스를 포함한 영화 속 인물들은 시간을 화폐처럼 쓰는 데 어색함이 없다. 걸인은 “5분만 달라”고 구걸하고, 거리엔 ‘무조건 99초 상점(현실세계로 치면 1000원숍)’이 즐비하다. 살라스의 여자친구(어맨다 사이프리드 분)는 귀걸이를 전당포에 맡기고 받은 24시간이 너무 적다고 투덜댄다. 반면 여유가 있는 사람들은 보유 시간의 일정분을 떼어내 은행에 예금하고 이자 시간을 받기도 한다.
영화 속 시간은 화폐의 세 가지 기능을 갖추고 있다. 물건을 사고팔 때 쓰이며(교환의 매개), 물건의 가치를 표기하고(회계의 단위), 일정 시간을 보관했다가 나중에 쓸 수도(가치의 저장) 있다. 한 가지 다른 점은 현실의 화폐보다 저장 기능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가만히 있어도 시간은 저절로 줄어들기 때문이다. 살라스는 남은 수명을 체크하기 위해 하루에도 몇 십 번씩 손목에 박힌 바코드시계를 확인한다. 그의 바람은 ‘남은 시간이 얼마인지 신경쓰지 않고 살아보는 것’이다. 과연 그의 바람은 이뤄질 수 있을까.
커피값은 왜 4분으로 올랐을까
“어제만 해도 3분이었잖아요!” 살라스가 커피숍에서 흥분한 이유는 3분짜리 커피값이 하루 만에 4분으로 올랐기 때문이다. 커피를 좋아하는 사람이 갑자기 늘어난 것일까? 그렇지 않다. 부자들이 갑자기 시간을 대량으로 풀면서 시간의 가치가 떨어졌기 때문이다. 현대 화폐경제에서 통화량 증가로 물가가 상승하고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과 동일한 현상이다. 영화 속에서 시간(화폐)의 가치는 공급과 수요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 변수에 변화가 생긴 것이다.
살라스는 처음에 커피값이 오른 이유를 몰라 짜증을 낸다. 공교롭게도 그는 중앙은행 산하의 시간통 생산공장에서 일한다.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에 따라 매일 성실하게 시간통을 찍어낸다. 그래서 <그래프 1>의 화폐 공급은 늘 수직이다. 통화당국이 일정한 규모로 시간을 공급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화폐의 수요는 어떨까? 커피값이 3분에서 4분으로 올랐을 때 살라스는 더 많은 시간을 갖고 다녀야 한다. 물가가 높은 상황에서 시간을 덜 챙겼을 경우 자칫 목숨까지 위협받을 수 있어서다. 그래서 물가가 높을수록(화폐가치가 낮을수록) 화폐 수요량은 증가한다. <그래프 1>의 화폐수요곡선이 우하향하는 이유다. 그렇게 해서 공급곡선과 수요곡선이 만나는 A지점에서 화폐가치가 결정된다.
그런데 만약 중앙은행이 공장을 더 많이 돌려 시간통 생산을 늘린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그래프 2>처럼 공급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균형은 A에서 B로 변한다. 화폐가치는 떨어지고 물가는 오르는 것이다. 이 이론대로 하면 커피값이 3분에서 4분으로 오른 이유는 간단하다. 시간의 양(통화량)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실제 영화 속 중앙은행도 시간 공급량을 늘렸다.
확장적 통화정책의 비밀
물가가 지나치게 오르면 중앙은행은 시중의 돈을 흡수해 화폐 유통을 줄이는 게 일반적이다. 통화 긴축정책을 펼치는 것이다. 그런데 영화 속 중앙은행은 물가가 계속 올라도 시간통 생산(공급)을 멈추지 않는다. 살라스는 어마어마한 시간부자 한 사람을 악당으로부터 구해주면서 그 이유를 알게 된다. “빈민촌 물가가 왜 특정한 날에 무섭게 오르는지 궁금하지 않은가. 인플레이션을 야기해 인구를 줄이려는 목적일세.” 살라스는 이 비밀을 알고 큰 충격을 받는다. 영화 속 통화당국은 자원(시간)이 희소한 상태에서 모든 사람이 죽지 않고 영원히 산다면 문제가 생긴다고 봤다. 이 때문에 인위적으로 물가를 올려 가난한 빈민들을 사망케 함으로써 인구와 시간을 조절하려 한 것이다.
물론 실제 현실에서 중앙은행이 확장적 통화정책을 펼치는 이유는 인구구조와 아무런 상관관계가 없다. 통상 불황 때 경기를 진작시키기 위해 통화량을 늘린다. <그래프 3>에서 보듯이 통화량이 늘어나면 화폐공급 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균형은 C에서 D로 이동해 균형이자율이 떨어진다. 이자율이 떨어지면 기업들은 투자를 늘릴 가능성이 크고, 승수효과를 통해 국민소득 증가로 이어지게 된다. 소득이 늘어나면 다시 소비가 증가해 경기 선순환 사이클이 완성된다.
인플레이션의 진짜 비용
시간부자의 목숨을 구한 대가로 100년이란 시간을 받게 된 살라스. 모처럼 꽃을 사들고 어머니의 귀가를 기다리지만 그날 어머니는 영영 집으로 돌아오지 못한다. 버스비가 갑자기 1시간에서 2시간으로 오른 탓에 생명줄인 시간이 바닥나버렸기 때문이다.
영화에서 보듯이 인플레이션은 구매력을 떨어뜨린다. 같은 돈으로 구입할 수 있는 재화와 서비스의 양이 줄어든다는 얘기다. 물론 통화량 변화가 실질임금과 실질이자율 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화폐의 중립성’ 이론에 따르면 장기적으로 물가 상승은 실질구매력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물가가 오르면 명목소득도 오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실에서 이 같은 ‘장기 균형’을 기다리기란 어렵다. 당장 임금상승률이 물가상승률을 따라잡지 못할 경우 큰 고통을 겪는다.
게다가 인플레이션은 화폐가치 외에 몇몇 번잡한 비용 상승을 동반한다. 대표적인 것이 ‘메뉴비용’이다. 음식점의 경우 물가가 급격히 올라 가격 조정이 잦아지면 새로운 메뉴를 인쇄하는 데 추가적인 돈이 든다. 그래서인지 영화 속 커피숍의 메뉴판은 언제든 가격을 쉽게 바꿀 수 있는 전광판 식이다. ‘구두창 비용’도 있다. 인플레이션 시기엔 현금 보유를 줄이는 게 이득이다. 예를 들어 4주에 한 번씩 200달러를 인출하는 대신 매주 50달러를 출금하러 은행에 가는 게 낫다. 이때 은행을 오가느라 구두창이 닳는 것처럼 낭비되는 자원이 생긴다는 것이다.
통화량 지나치게 늘리면
어머니를 잃은 살라스는 무작정 한 대형 시간은행의 은행장을 찾아가 협박한다. “저 금고 안에 (지급준비금으로) 보유하고 있는 100만년을 시중에 푸세요.” 은행장은 이렇게 대응한다. “(지금 100만년이란 큰 시간을 풀면) 시스템이 파괴되고 다음 세대 삶의 균형까지 무너집니다.” 통화량을 급격히 늘릴 경우 생기는 초인플레이션 가능성을 우려한 것이다.
초인플레이션은 한 달에 물가 수준이 50% 이상 높아지는 극심한 인플레이션 상황을 뜻한다. 과도한 통화공급에 의해 촉발되지만 물가가 더 오를 것이란 경제주체들의 기대가 기폭제 역할을 한다. 초인플레이션이 생기면 생산량은 줄고 화폐는 휴짓조각이 된다. 통화시스템이 무너져 물물교환의 시대로 회귀할 수도 있다. 빈민들을 구제하겠다고 마음먹은 살라스는 이런 원리를 이해하지 못한다.
살라스는 권총으로 은행장을 협박해 100만년을 시중에 유통시키는 데 성공한다. 짧은 순간 빈민가 사람들의 표정이 밝아진 듯했지만 이내 TV 뉴스에선 앵커의 걱정스러운 목소리가 울린다. “공장들이 모두 폐쇄됐습니다. 사람들은 길거리로 나오고 있습니다. 당국은 부인하고 있지만 경제시스템 붕괴가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그래도 살라스는 영문을 알 수가 없다. 영화는 살라스가 더 큰 은행을 털기 위해 중앙은행으로 걸어들어가는 장면으로 끝난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
시네마노믹스 자문 교수진 가나다순
▲송준 성균관대 경제학과 교수 ▲이창민 한양대 경영학과 교수 ▲정재호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 ▲한순구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
▶ [영화로 쓰는 경제학원론] 은행은 어떻게 신용을 창출하나
▶ [시네마노믹스] 공공재의 비용·편익분석에는 허점 많다
▶ [시네마노믹스] 7번방은 차가운 공공재에 판타지 입힌 영화적 상상력
▶ [시네마노믹스] 골드만삭스가 뉴욕 교도행정에 투자한 까닭은
▶ 르노삼성차 'SM5 TCE', 1600㏄ 작은 심장 갖고도 힘·연비 뛰어나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