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앙꼬 빠진 우리은행 어떻게 팔까

입력 2013-06-18 17:38
수정 2013-06-19 05:18
좌동욱 증권부 기자 leftking@hankyung.com


지난달 25일 서울 시내 모처에서 열린 공적자금관리위원회 매각심사소위원회. 우리금융지주 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가 우리금융 자회사 3단계 매각안을 보고하자 회의장이 술렁거리기 시작했다. 앞서 보고한 병행 매각, 통매각 방안과 달리 처음 나온 방식이기 때문이다. 골자는 지방 은행과 증권 자회사 매각을 연내 순차적으로 착수한 뒤 우리은행과 나머지 계열사를 은행으로 묶어 내년 하반기부터 매각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자회사 분리 매각안은 공자위가 2010년 1차 민영화 시도 때부터 검토했지만 번번이 채택하지 못했다. 두 가지 이유 때문이다. 첫째는 우리투자증권을 분리해 선매각하면 우리금융 기업 가치가 크게 떨어진다. 최악의 경우 경영진이 우리금융 지분 43%를 들고 있는 소액주주들로부터 배임 등으로 소송을 당할 수 있다. 둘째, 알짜 계열사를 팔고 남은 우리은행의 주인을 찾기가 어렵다.

하지만 이날 공자위원들은 이런 문제점에 대해 깊은 토론을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한 공자위원은 “정부가 강력한 의지를 가지고 있는데 문제를 제기해본들 대세에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했다. 분리 매각안에 비판적이었던 다른 공자위원도 “가장 덩치가 크고 팔기가 어려우니 후순위로 밀린 게 아니냐”며 현실을 인정했다. 공자위원들 중 다수는 이날 분리 매각안을 처음 들은 것으로 전해진다. 매각심사소위원 중 유일하게 정부 측 위원인 손병두 사무국장은 이날 회의 2주 전에야 내정됐을 정도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우리금융 매각 성사를 위해 금융위원장직을 걸겠다”고 굳은 의지를 밝혔다. 자회사 분리 매각안이 공룡처럼 거대해진 우리금융의 주인을 찾아줄 현실적인 방안이 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은행과 증권가 일각에서는 민영화의 진정성을 느끼기 어렵다는 이야기가 흘러나온다. 지방은행과 우리투자증권만 팔고난 뒤 할 일을 충분히 했다며 ‘공치사’를 하려는 속셈 아니냐는 의심이다.

우리은행은 우리금융 기업 가치의 최소 80% 이상을 차지하는 핵심 계열사다. 현실적인 매각안을 제시하지 않고 정부가 공적자금 극대화, 빠른 민영화, 금융산업 발전이라는 금융지주회사법상 세 가지 원칙을 준수했다고 말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금융정책국이 민영화 논의에 참여하지 않은 것도 아쉬운 대목이다. 정부가 ‘금융산업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지 않았다는 것을 방증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좌동욱 증권부 기자 leftking@hankyung.com


▶ 유부녀, 23세男과 불륜에 정신 뺏기더니 '경악'

▶ '속옷 모델' 女의대생, 적나라하게 찍다 결국

▶ 양현석, 싸이로 떴다가 '300억' 날려…대반전

▶ 女배우들, 조폭 생일파티서 비키니 입고…

▶ 경리, 충격 성희롱 "너의 자궁에다 한바탕…"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