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울산 반구대 암각화 '이동식 투명댐'으로 보존

입력 2013-06-16 14:08
정부가 울산 반구대 암각화의 보존을 위해 암각화 전면에 일종의 이동식 투명댐을 설치, 보존하기로 했다.

수위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카이네틱댐(Kinetic Dam)'댐을 설치할 경우 매년 반복되는 암각화의 침수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정부는 16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정홍원 국무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반구대 암각화 보존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것으로 전해졌다.

변영섭 문화재청장, 박맹우 울산시장, 유진룡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김동연 국무조정실장 등 관계 기관장들은 MOU를 통해 '카이네틱댐' 설치 추진에 합의했다는 것.

카이네틱댐은 투명한 재질의 보호막으로 이뤄진 소규모 댐으로 수위 변화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동과 해체가 용이하다.

이 댐이 설치되면 암각화가 물에 잠기는 것을 예방하면서도, 자연경관과 주변 지형을 훼손하지 않을 것이라고 정부는 설명했다.

정부는 또 지반조사, 구조안전성 평가, 사전 테스트 등 기술적 검토를 거쳐 전문가들이 괜찮다고 판단하면 곧바로 이 댐의 설치를 추진키로 했다.

반구대 암각화 보존 방안의 가닥이 잡힌 것은 지난 2003년 울산시가 서울대에 연구용역을 의뢰한 지 10년 만이다. 문화재청은 그간 반구대 암각화의 침수 원인인 인근 사연댐의 수위를 낮추는 방안을 추진했지만 울산시는 이 방안이 주민 식수난을 유발한다며 생태제방 설치를 주장하는 등 서로 대립해왔다.

국보 285호인 반구대 암각화는 세계 최초의 고래사냥 기록을 담은 선사시대 바위 그림으로 사연댐 건설로 연중 6개월 가량 물에 잠겨 매년 훼손되고 있다.

한경닷컴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 女가수, 남편 외도현장 급습 후…충격 고백

▶ 송대관 이태원 집 '경매行'…아내 때문에?

▶ 소녀시대 수영, 생방송 중 노출사고 '아찔'

▶ '월세' 사는 박완규, 행사 수입 어디에 썼길래

▶ 장근석, 85억 빌딩 매입한지 3년 만에…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