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IPO…'알짜기업' 깨워라] "사외이사 둬야하고…" 공시의무·소액주주 견제도 부담

입력 2013-06-11 17:04
수정 2013-06-12 01:08
IPO 꺼리는 이유는


알짜 비상장 기업들이 기업공개(IPO)를 꺼리는 이유는 다양하다.

대다수 기업은 “당장 외부에서 투자를 받아야 할 만큼 급하게 돈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을 꼽는다. 내부에 쌓아둔 돈으로 신사업 진출 또는 설비 투자 등에 필요한 자금을 충당할 수 있는데 굳이 오너 지분율이 떨어지는 걸 감수하면서까지 상장할 필요를 못 느낀다고 했다.

까다로운 공시 의무와 소액주주의 견제도 알짜 비상장 기업들의 IPO행을 막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상장에 따른 이익에 비해 ‘상장비용’이 오히려 클 수 있다는 얘기다.

실제 상장사는 1년에 한 번 사업보고서만 내면 되는 비상장사와 달리 분기별로 사업보고서를 내야 할 뿐 아니라 최대주주가 보유주식을 1주라도 팔면 곧바로 공시해야 한다. 사외이사와 감사도 선임해야 하고, 수시로 기업설명회(IR)도 열어야 한다. 기업을 경영하는 과정에서 유상증자 등을 통해 오너의 지분율이 떨어지기라도 하면 ‘슈퍼개미’가 달라붙어 적대적 인수합병(M&A) 위협에 노출되기도 한다.

알짜 비상장 기업들의 ‘IPO 외면’ 현상은 증시가 지지부진할 때 한층 심해진다. 공모가가 당초 기대보다 낮아질 가능성이 높아서다. 이렇게 되면 회사에 유입되는 신규 자금 규모가 계획보다 줄어들 뿐 아니라 오너에게 돌아갈 일부 보유지분 매각금액도 쪼그라들게 된다.

그러나 이미 증시에 입성한 기업들은 “IPO는 잃는 것보다는 얻는 게 많은 ‘남는 장사’”라고 입을 모은다. 롯데쇼핑이 바로 그런 예다. ‘한국 유통 챔피언’이었던 롯데쇼핑은 2000년대 중반 ‘아시아 유통 리더’로 목표를 올린 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상장에 나섰다. 2006년 2월 상장을 통해 마련한 3조5000억원은 롯데가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는 데 필요한 종잣돈이 됐다. 롯데는 이 돈과 상장 후 발행한 전환사채(CB) 자금 등을 토대로 네덜란드계 유통업체인 마크로의 중국법인과 인도네시아 법인, 중국 토종 유통업체 타임스를 차례차례 사들였다.

김우경 롯데쇼핑 IR담당 이사는 “IPO를 통해 조달한 자금이 없었다면 공격적인 해외 진출이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 대형증권사 IPO 담당자는 “일부 알짜 비상장 기업들은 현재 가진 돈이 충분하다며 증시를 통해 자금을 조달할 필요가 없다고 착각한다”며 “롯데쇼핑의 사례에서 보듯이 IPO는 더 큰 성장을 위해 필요한 일종의 통과의례”라고 했다.

연성인쇄회로기판(FPCB)과 카메라모듈 등을 만드는 파트론에도 IPO는 ‘축복’이었다. 2006년 12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하면서 조달한 93억원을 생산설비를 늘리는 데 집중 투자한 덕에 4년여 뒤 삼성전자 ‘갤럭시 시리즈’가 안겨다 준 엄청난 기회를 고스란히 품을 수 있었다. 상장 당시 646억원에 불과했던 시가총액은 최근 1조1000억원대로 불어났다.

김동윤/이유정 기자 oasis93@hankyung.com




▶[속보] 급등주 자동 검색기 '정식 버전' 드디어 배포 시작
▶[한경 스타워즈] 대회 전체 수익 2억원에 달해.. 비결은?


▶ 女직원들, 짧은 치마입고 아침마다…'민망'

▶ '한혜진 교회' 가보니…배우들 이런 일도 해?

▶ 도경완, 장윤정에 '계획적 접근' 소문나자…

▶ 한채영·조영남 사는 '강남빌라' 봤더니…깜짝

▶ 박시후, '성폭행 사건' 끝난지 얼마나 됐다고…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