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대화 급물살] '7·4 성명은 박정희 전 대통령 유산' 고려한 듯

입력 2013-06-06 17:17
수정 2013-06-07 02:12
공동기념 제안한 이유


북한이 6일 남북 당국 간 회담을 제의하면서 7·4 공동성명 발표를 남북 양측이 공동으로 기념하자고 처음 제안했다. 7·4 공동성명은 1972년 7월4일 발표됐다. 서울에서는 이후락 당시 중앙정보부장이, 평양에서는 김영주 노동당 조직지도부장이 동시에 성명을 발표했다. 앞서 이 부장은 비밀리에 평양을 방문하고 박성철 북한 제2부수상도 극비리에 서울을 다녀가는 등 성명의 합의 과정은 첩보전을 방불케 했다.

7·4 공동성명은 자주, 평화, 민족 대단결이라는 ‘통일 3원칙’을 제시했다. 또 중상비방과 무력도발 중지, 다방면적 교류, 남북 적십자회담 성사, 서울과 평양을 잇는 직통전화 가설 등 획기적인 내용을 담았다.

그러나 남한과 북한 정권은 같은 해 말 각각 ‘유신헌법’과 ‘사회주의헌법’으로 권력을 강화해 이 성명을 정권의 권력 강화에 이용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북한이 박근혜정부를 상대로 7·4 공동성명을 내세운 것은 박근혜 대통령의 선친인 박정희 전 대통령의 유산이라는 점을 적극 고려한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남쪽 정부에 대한 호소력을 강화하려는 시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추가영 기자 gychu@hankyung.com


▶ 윤형빈 경악, 정경미 알고보니 '사기 결혼'

▶ 장윤정 내막 드러나자 열성 팬까지 '돌변'

▶ 허참, 부인 두고 호텔에서?…조영남 '폭로'

▶ 女승무원과 성관계 후…반전 결과에 '경악'

▶ "장윤정에 보복할 것" 폭탄 발언…가족 맞아?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