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전략]"中 4분기 GDP가 관건"…소재·산업재 '주목'

입력 2013-01-10 14:51
1월 옵션만기일인 10일 코스피지수가엿새 만에 반등했다.최근 지수선물 대량 주문 실수로 알려진물량이이미 정리돼양호한 베이시스(선물과 현물의 가격차이)가유지된데다중국의 수출 지표 개선 소식이전해졌기 때문으로분석됐다.

증시전문가들은 "당분간 뚜렷한 모멘텀(상승동력)이 없어 방향성을 예측하기 어렵다"면서도 "내주 발표될 중국의 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시장컨센서스(7.7%)에 부합하거나 웃돈다면 경기 턴어라운드 신호로 받아들여질 가능성이커 소재와 산업재 업종의 투자 매력이 부각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김형렬 교보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이번 주 증시에서드러난악재 요인은수급적인 측면에서 지원이 부족하다는 것"이라며 "삼성전자의 양호한 잠정실적 발표 이후 주가 흐름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기업이익 모멘텀이 주가 상승으로 이어지려면동시에 경기 반등 신호가 포착돼야 가능할 것"이라며 "중국의 4분기 GDP 성장률이 발표될 오는 18일까지 지수의 정체 현상은 지속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지난 4분기 GDP 성장률에 대한 기대는 그러나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분위기라는 설명이다.

그는 "이날 중국의 수출 지표 개선 소식이 지수에 호재로 작용한 것이 사실"이라며 "3분기가 중국 경기의 바닥이라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개별주(株) 위주의 매매패턴에서 벗어나 대형주 중심의 접근이 필요하다는주장이다. 그는 "특히 중국 4분기 GDP 성장률이 컨센서스와 부합하는 수준만 기록해도 경기 반등기대가 커질 수 있어관련주인철강 화학 기계 등 소재와 산업재 위주의매매 전략이 유효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엔화 약세와 원화 강세에 따른 업종별수혜도 투자 시면밀히살펴 볼 필요가 있다는 분석도나왔다.

한치환 KDB대우증권 투자전략부 연구원은 "외환정책만으로 일본의 구조적인 경쟁력이 개선된다고 보기는 어렵다"며 "이미 일본과 경쟁 중인 시장이 크게 줄어든 상황이라서 엔화 약세의부정적인 영향이 시장 전반에 걸쳐 나타나기보다국지적으로 드러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전통적으로 원화 강세 국면에서 타격을 입는 업종은 운수장비와 기계, 일부 정보기술(IT) 업종 등이며 수혜 업종은 화학과 엔화 부채가 있는 유틸리티 항공업종 등"이라고덧붙였다.

한경닷컴 정현영 기자 jhy@hankyung.com








▶ 고영욱, 18세女에 "우리, 밤에 은밀하게…" 충격 폭로

▶ 유명女배우, 생방송 중 '19금 성행위' 돌발 행동…'경악'

▶ 20대男 "부킹女와 모텔 갔지만…" 반전에 충격

▶ 女교사, 트위터에 올린 음란한 사진 '헉'

▶ 이봉원, 박미선 몰래 사채썼다 빚이 7억 '충격'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