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퍼스 잡앤조이=홍효진 인턴기자] 이직 경험이 있는 직장인 5명 중 3명은 회사를 옮긴 후 텃세에 시달린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람인이 이직 경험이 있는 직장인 658명을 대상으로 ‘이직 후 텃세 경험’에 대해 조사한 결과, 62%가 ‘있다’라고 답했다.
이직 후 이들이 경험한 텃세로는 ‘업무 자료를 공유하지 않음’(54.4%, 복수응답)이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업무 스타일이나 방식을 무시할 때’(42.9%), ‘작은 실수도 확대해서 말할 때’(37.3%), ‘대화에 참여시켜주지 않을 때’(30.6%), ‘나와 관련된 뒷담화를 들었을 때’(28.9%), ‘처음부터 과도한 업무를 부여할 때’(27%) 등의 순이었다.
주로 텃세를 주도한 사람은 ‘같은 직급의 동료’(50.7%, 복수응답)인 것으로 나타났다. 계속해서 ‘직속 상사’(48.8%), ‘직급이 낮은 부하 직원’(17.4%), ‘타 부서 상사’(14%), ‘타 부서 팀원’(10.5%) 순으로 이어졌다.
텃세 지속 기간은 ‘1개월~3개월’(47.3%), ‘4개월~6개월’(24%), ‘퇴사할 때까지 계속 됨’(12.7%), ‘10개월~12개월’(8.8%), ‘7개월~9개월’(5.9%), ‘1년 이상 지속’(1.2%) 순으로 집계됐다.
동료들의 텃세가직장생활에 미친 영향을 묻자‘재이직에 대해 고민’(60%, 복수응답)이 1위를 차지했다. 이어‘직장 만족도 감소’(57.1%), ‘업무 집중력 저하’(44.6%), ‘업무 성과 저하’(40.4%), ‘우울증 등 정신적 고통’(33.6%), ‘소화불량 등 질병’(27.2%) 등의 의견이 이어졌다.텃세를 견디지 못해 다시 이직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도 35.8%로 집계됐다.
이직 후 텃세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으로는 ‘인정받기 위해 열심히 일함’(56.6%,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최대한 튀지 않게 행동함’(43.6%), ‘먼저 말을 거는 등 적극성을 보임’(42.6%), ‘가급적 반대의견을 제시하지 않음’(35.5%), ‘술자리, 회식 등 빠짐 없이 참석함’(20.1%), ‘노하우를 공유하는 등 도움을 줌’(18.1%) 등의 순이었다.
임민욱 사람인 홍보팀장은 “직장인들은 더 좋은 조건에서 일하기 위해 이직을 꿈꾸지만, 기존 직원들의 배타적인 태도나 자신과 맞지 않는 조직 문화 등으로 인해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며 “이직 후에는 기존 직원들의 업무 방식이나 조직문화를 배우려는 모습과 먼저 다가가는 등 적극적으로 융화하려는 태도를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hyojin@hankyung.com
< 저작권자(c) 캠퍼스 잡앤조이, 당사의 허락 없이 본 글과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