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조지아 EPA 체결…K-자동차·푸드·화장품 관세 즉시 철폐

입력 2024-11-27 10:30
수정 2024-11-27 11:45
한·조지아 EPA 체결…K-자동차·푸드·화장품 관세 즉시 철폐

한국, 금속 원료품목·와인 등 수입관세 철폐…쌀·천연꿀 등은 양허 제외

유럽·아시아 잇는 신흥 물류 요충지…조지아 내 한류 확산 기대



(서울=연합뉴스) 이슬기 기자 = 정부가 아시아·유럽을 잇는 교역 요충지에 위치해 코카서스 지역의 교통·물류 거점으로 꼽히는 조지아와 경제동반자협정(EPA)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조지아는 한국의 주요 수출 품목인 자동차, 식품, 화장품 등에 부과하던 관세를 전면 즉시 철폐한다.

조지아의 주요 생산품인 와인과 구리 스크랩을 포함해 국내 원료로 활용 가능한 금속에 대한 한국의 수입 관세도 즉시 철폐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과 게나디 아르벨랏제 조지아 경제지속가능발전부 차관이 27일 서울에서 만나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한·조지아 EPA' 협상 타결을 선언했다고 밝혔다.

한·조지아 EPA는 한국이 체결한 26번째(협상타결 기준) 자유무역협정(FTA)이다. EPA란 FTA와 같이 관세 철폐 등의 시장 개방 요소를 포함하면서도 상대국과의 공동 번영을 목적으로 협력 요소를 강조하는 통상 협정을 말한다.



코카서스 지역의 교통·물류 거점인 조지아는 구소련권 국가 중 가장 개방된 시장경제 체제로 운영된다.

개방적인 대외정책을 통해 46개국과 FTA를 체결하는 등 넓은 배후 시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공급망·에너지 등 분야의 협력 잠재력이 크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한·조지아 교역액은 약 2억달러로, 조지아에 대한 한국의 무역수지는 약 1억8천만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한국의 대(對)조지아 주요 수출품은 승용차, 아연도금강판, 합성수지 등이다. 주요 수입품은 기타정밀화학원료, 직물류, 동괴 및 스크랩 등이다.

한·조지아 EPA를 통해 한국은 전체 품목 중 93.3%, 조지아는 91.6%에 적용되는 관세를 10년 내 철폐하기로 했다.



특히 조지아는 한국의 주력 수출품인 승용차와 관련해 신차뿐 아니라 중고차, 친환경차에 대한 관세를 즉시 철폐하는 등 전면 개방했다.

이에 일본 등 EPA를 체결하지 않은 경쟁국과 비교했을 때 조지아 시장에서 한국 자동차의 가격 경쟁력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신차보다 관세가 높고 수입 비중이 큰 중고차 분야에서의 수혜도 예상된다.

K-콘텐츠 열풍에 힘입어 글로벌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K-푸드'와 'K-뷰티'에 대한 조지아의 관세도 즉시 철폐된다.

라면, 조미김, 건조감, 삼계탕, 커피 프림 등 농림수산식품과 맥주, 소주 등 주류, 각종 화장품이 이에 해당한다.

2019∼2023년 한국의 대조지아 수출에서 화장품의 수출액은 2019년 82만4천만달러에서 2023년 519만6천만달러로 531% 증가했다.

한국 기업들이 조지아산 와인(킨즈마라울리)을 원료로 한 화장품을 개발해 조지아에 수출한 사례도 있어 향후 한국 화장품 수출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조지아가 정부 주도 인프라 개발사업에 착수할 경우,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건설장비, 재생에너지 설비 등에서도 무관세를 지속하기로 했다.

이밖에 조지아의 해운, 도로 화물 운송, 창고업, 화물 주선업 등도 폭넓게 개방됐다.

산업부는 "한국 기업의 운송·물류 네트워크를 다각화하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비하는 공급망 안정화에도 기여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음반 등 시청각, 출판, 전시업, 교육 서비스 등도 개방돼 조지아 내 한류 접근성이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 대부분의 공산품에 대한 관세를 즉시 철폐했지만, 쌀·천연꿀·인삼·호두·잣 등 민감 품목에 대해서는 양허를 제외했다.

구리 스크랩, 기타 알루미늄 합금, 슬랙 등 국내에서 원료로 활용할 수 있는 품목에 부과되는 수입 관세는 즉시 철폐했다.

조지아 측 수출 유망 품목인 완성 의류와 관련해서는 관세 경감에 따른 업계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관세를 10년 최장기 철폐하기로 했다.

남성바지(합성섬유), 티셔츠(인조섬유), 여성윈드재킷(합성섬유) 등은 최근 대조지아 수입이 증가한 품목 등이 이에 해당한다.

와인, 증류주, 천연 탄산수 등 조지아 측 주력 수출품목에 대해서는 발효 시점에 관세를 철폐해 소비자 선택권 확대에 기여한다.

정인교 통상본부장은 "이번 EPA는 양허 수준이 높고 공급망, 교통·물류, 에너지 등 분야에서 폭넓은 협력을 추진하기로 한 만큼 양국의 교역 확대와 안정적인 글로벌 공급망 구축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 본부장은 "조지아는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적 요인으로 신흥 물류 요충지로 더욱 부상하고 있다"며 "이번 EPA를 통해 발칸·코카서스로 진출하는 교두보를 마련하는 효과도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wis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