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징어 사라져가는 동해…56년간 수온 1.9도 올랐다

입력 2024-10-13 06:35
오징어 사라져가는 동해…56년간 수온 1.9도 올랐다

한국 연근해 수온 56년간 1.4도 상승…지구 평균 2배

국립수산과학원 기후영향 보고서…"2100년까지 수온 1∼4도 상승"



(서울=연합뉴스) 김윤구 기자 = 한국 연근해 평균 수온이 56년간 1.44도 올라 전 지구 평균의 2배에 이르는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특히 명태가 멸종되고 오징어마저 사라져가는 동해에서는 수온이 1.9도나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국립수산과학원의 '2024 수산 분야 기후변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1968∼2023년 56년간 전 지구 표층 수온이 0.7도 오르는 사이 한국 해역의 표층 수온은 1.44도 상승했다.

표층 수온 상승 폭은 동해가 1.9도로 가장 컸으며 서해 1.27도, 남해 1.15도 순이었다.

한인성 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장은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우리나라 연근해 수온이 특히 가파르게 오른 원인에 대해 "기후변화에 따라 북태평양 고기압 세력 강화 등 우리나라 주변을 둘러싼 대규모 기단들의 변화가 극심한 데다 저위도에서 오는 따뜻한 해류의 열 수송도 많이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서해는 폐쇄적인 해역이고 동해도 입구와 출구가 좁고 얕은 해협이라 기후변화에 의한 수온 상승이 빨라질 수 있는 지형"이라고 덧붙였다.



연근해 중에서도 동해의 수온 상승 폭은 서해의 1.5배나 됐다.

한 과장은 "동해는 북부 해역은 찬물이고 남부 해역은 따뜻한 물인데 온난화 효과로 찬물과 따뜻한 물의 경계선이 점점 북쪽으로 이동하다 보니 과거 찬물 해역이던 곳이 따뜻한 물 해역으로 바뀐다. 그래서 동해에서 수온 상승이 훨씬 빠르게 나타난 것"이라고 분석했다.

동해에서는 과거 '국민 생선'으로 불리던 명태의 씨가 마르고 오징어는 어획량이 급감했다.

김현우 수산과학원 연근해자원과 연구관은 이에 대해 "수온 상승과 과도한 어획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이라고 말했다.

명태는 연간 어획량이 1980년대에는 10만t(톤)이 넘었지만 지난 2007년 이후 1∼2t에 불과할 정도로 희귀해졌다가 2019년부터 어획이 전면 금지돼 러시아산에 의존한다.

해양수산부가 2014년부터 고갈된 명태 자원을 회복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수정란을 부화해 키운 어린 명태를 바다에 푸는 '명태 살리기 사업'을 하고 있지만 10년이 지나도록 이렇다 할 성과는 없다.

오징어는 2000년대에는 연평균 20만t 정도 잡히다가 지난해에는 역대 최저인 2만3천t까지 줄어 '금징어'라고 불릴 만큼 가격이 급등했다. 동해 수온 상승으로 어군이 형성되지 않고 개체 분포가 넓어진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김 연구관은 설명했다.



수온 상승은 어장 지도를 바꾸고 있다.

우리나라 연근해 어업 생산량은 1980년대 평균 151만t 수준에서 2000년대 116만t으로 급감했고 2020년대에는 93만t으로 지속해 감소하는 추세다.

수산과학원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대부터 살오징어 어획량이 급감했고 멸치와 고등어도 감소하거나 정체 상태다. 반면 주요 난류성 어종인 방어, 전갱이, 삼치는 지난 40년간 어획량이 꾸준히 증가했다.

김 연구관은 "과거에 방어는 제주도 연안에서 많이 잡히다 수온 상승으로 어장이 북상하고 있어 지금은 동해 남부 쪽에서도 많이 잡힌다"고 말했다.

이어 "근래 서해에서 꽃게 어획량도 많아졌다"며 "이는 수온이 상승해 꽃게가 살기에 알맞은 환경이 조성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수산과학원은 제주 연안에서 수온 상승에 따라 아열대성 어종의 종수, 개체수, 밀도 모두 뚜렷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미 제주도 내 수산물 시장에서 아열대 어종이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해는 국립수산과학원이 표층 수온을 관측하기 시작한 1990년 이래 우리나라 해역의 연평균 수온이 가장 높은 해였다.

우리나라 앞바다는 앞으로 더욱 뜨거워질 것으로 보인다.

한 과장은 "수온 상승 속도는 갈수록 빨라지고 있다"면서 "올해 수온은 지난해의 기록을 깰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수산과학원은 2100년까지 우리 바다 수온이 시나리오에 따라 1∼4도 상승하는 것으로 전망했다.

y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