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등 수출호조에 7월 경상수지 91.3억달러 흑자(종합)
3개월 연속 흑자…수출 1년전보다 17%↑·상품수지 84.9억달러 흑자
서비스수지 -23.8억달러 적자…해외여행 증가에 여행수지 -12.6억달러
한은 "설비투자·소비 회복에 하반기 수입 늘어 상품수지 흑자 축소 가능성"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민선희 기자 = 반도체 등의 수출 호조에 힘입어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석 달째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하지만 수입도 증가세로 돌아서면서 하반기 상품수지 흑자 규모는 다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한국은행이 6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지난 7월 경상수지는 91억3천만달러(약 12조1천900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앞서 4월 외국인 배당 증가 등으로 1년 만에 적자(-2억9천만달러)를 기록했다가 5월(+89억2천만달러) 반등한 뒤 6월(+125억6천만달러)에 이어 3개월 연속 흑자다.
하지만 흑자 규모는 6년 9개월 내 최대였던 6월보다 34억달러 이상 줄었다. 다만 해마다 같은 7월만 비교할 경우 2015년 7월(+93억7천만달러) 이후 가장 큰 흑자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1∼7월 누적 경상수지는 471억7천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52억6천만달러)과 비교해 419억1천만달러나 많다.
7월 경상수지를 항목별로 보면, 상품수지(84억9천만달러)가 작년 4월 이후 16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유지했다. 흑자 폭은 6월(+117억4천만달러)보다 작았지만, 작년 7월(+44억3천만달러)보다는 컸다.
수출(586억3천만달러)이 1년 전보다 16.7% 늘었다. 앞서 지난해 10월 1년 2개월 만에 전년 동월 대비 반등한 뒤 열 달째 증가세가 이어졌다.
품목 중에서는 반도체(50.1%)·정보통신기기(29.8%)·석유제품(16.8%)·기계류 및 정밀기기(14.3%)가 늘었고, 지역별로는 동남아(27.4%)·중국(14.9%)·일본(10.0%)·미국(9.3%) 등으로의 수출이 호조를 보였다. 반대로 승용차(-8.9%) 등은 뒷걸음쳤다.
수입(501.4억달러) 역시 9.4% 증가했다. 전년 동기 대비 기준으로 3개월 만의 반등이다.
석유제품(37.9%)·천연가스(23.5%)·원유(16.1%) 등 원자재 수입이 9.5%, 수송장비(121.1%)·반도체(16.3%)·정밀기기(15.2%) 등 자본재 수입이 11.9% 각각 늘었다. 승용차(58.3%)·가전제품(15.5%)를 비롯한 소비재 수입도 10.7% 불었다.
송재창 한은 금융통계부장은 "에너지류 중심의 원자재, 반도체제조용장비 등 자본재, 가전제품 등 소비재 수입이 모두 늘어 전체 수입이 3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됐다"며 "설비투자·소비 회복과 함께 앞으로도 수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상품수지 흑자 규모는 하반기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서비스수지의 경우 23억8천만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적자 규모가 1년 전(-25억7천만달러)과 비슷하지만, 한 달 전(-16억달러)보다는 커졌다.
서비스수지 가운데 특히 여행수지가 12억6천만달러 적자였다. 내국인의 해외여행 증가로 적자 폭이 6월(-9억달러)보다 확대됐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송 부장은 여행수지 적자와 관련해 "출국자 수가 휴가철을 맞아 6월 221만9천명에서 7월 250만2천명으로 늘었지만, 입국자 수는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7월 중 110억3천만달러 늘었다.
직접투자의 경우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43억3천만달러, 외국인의 국내 투자가 29억9천만달러 각각 증가했다.
증권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주식을 중심으로 101억1천만달러 불었고, 외국인의 국내 투자도 39억2천만달러 확대됐다.
송 부장은 "내국인의 해외증권 투자 가운데 부채성증권(채권) 투자 증가액이 6월 3억3천만달러에 불과했는데 7월 46억7천만달러로 크게 늘었다"며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강해진 것이 배경"이라고 덧붙였다.
shk999@yna.co.kr, s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