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피한 방글라 전 총리 어찌해야하나…'외교 딜레마' 빠진 인도
하시나, 4주 넘게 체류해 인도 부담…'하시나에 올인' 정책이 부메랑 돼
방글라 새정부와 관계·中견제-남아시아 맹주 위상 유지 사이에서 줄타기
(서울=연합뉴스) 김영현 기자 = 인도가 반정부 시위대에 쫓겨 자국 내로 도피해 온 셰이크 하시나 전 방글라데시 총리 신병 처리를 놓고 '외교 딜레마'에 빠졌다.
방글라데시 새 정부와의 관계 구축 및 중국 영향력 확대 견제와 '남아시아 지역 맹주'로서의 위상 유지 사이에서 줄타기해야 하는 형국이다.
지난달 5일 '독립유공자 자녀 공무원 할당제'에 반대하는 시위대를 유혈 진압했다가 폭발한 민심에 헬기를 타고 급하게 탈출한 하시나 전 총리는 전략적 파트너이자 자신의 최대 우호 세력인 인도로 몸을 피했다.
1996∼2001년에 이어 2009년 이후 15년간 장기 집권하며 '철옹성 정권'을 구축했던 하시나 전 총리의 갑작스러운 몰락은 예상하기 어려운 일이었지만, 인도 정부는 궁지에 몰린 하시나 전 총리를 선뜻 받아들였다.
하지만 하시나 전 총리는 예상과 달리 4주 넘게 인도에 체류하면서 인도 정부의 '외교적 골칫거리'가 됐다고 AFP통신이 전문가를 인용,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그는 애초 인도를 거쳐 미국, 영국, 아랍에미리트(UAE) 등으로 망명하려 했으나 일은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는 상황이다. 이 와중에 방글라데시 과도정부가 하시나 전 총리 외교 비자 효력을 무효화시키면서 그는 인도에서 발이 묶였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 정부는 고민이 깊어지게 됐다.
방글라데시를 우군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하시나 정부와 관계 강화에 '올인'했지만, 이제는 방글라데시 새 정부와 관계 구축에 신경 써야 하는 상황에서 '뜨거운 감자'를 손에 쥐고 있기 때문이다.
총선 후 방글라데시에서 새롭게 집권할 세력으로는 하시나 전 총리 정적인 칼레다 지아 전 총리가 이끄는 방글라데시민족주의당(BNP)이 꼽히는데 과거 2001∼2006년 BNP 집권 기간 인도와 방글라데시 관계는 상당히 나빴던 것으로 평가받는다.
방글라데시 새 정부가 만약 아시아·태평양 지역 영향력 확대에 총력을 기울이는 중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을 경우, 인도 정부의 '남아시아 반중 외교 네트워크'에는 치명타가 될 수 있다.
이미 최근 인접국 네팔과 몰디브에서는 친중국 성향 정권이 새롭게 들어섰다.
설사가상으로 방글라데시에서는 하시나 전 총리 퇴진 후 힌두교도나 힌두교 사원을 겨냥한 테러가 급증하는 등 반(反)인도·반힌두 감정마저 고조되는 상황이다.
힌두 국수주의 성향의 모디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지한 덕분에 하시나 체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었다며, 양쪽을 잡아 비난하는 분위기가 형성된 것이다.
BNP의 고위 지도자인 압둘 모이엔 칸은 BBC뉴스에 "인도는 아와미연맹(하시나 전 총리 소속 정당)과 그 정부를 방글라데시 내 유일한 동맹으로 여겼다"며 "이는 전략적 실수"라고 지적했다.
반정부 시위를 주도했던 대학생 집단이 하시나 전 총리 송환을 요구하고 있다는 점도 고민거리다.
정권이 교체됐다고 해서 오랫동안 '밀착'했던 이웃 나라 전직 정상을 한순간에 내팽개치면 이를 지켜보는 남아시아 국가 지도자들에게 인도에 대한 부정적 인상을 심어줄 수 있다는 점에서다.
싱크탱크 국제위기그룹(ICG)의 토머스 킨은 "인도는 분명히 하시나 전 총리의 송환을 원하지 않을 것"이라며 그의 송환은 남아시아의 다른 친인도 지도자들에게 '인도는 당신들을 보호해 주지 않을 것'이라는 긍정적이지 않은 메시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상황 속에 노벨평화상 수상자 무함마드 유누스가 이끄는 방글라데시 과도정부 측은 하시나 전 총리 송환을 공식적으로 거론하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과도정부도 인도와 좋은 관계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이 사안을 굳이 이슈화하지 않으려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coo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