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銀 주담대 증가폭 역대 최대…'0%대 금리' 때보다 많은 영끌

입력 2024-08-25 05:45
5대銀 주담대 증가폭 역대 최대…'0%대 금리' 때보다 많은 영끌

7월 7.6조 급증…8월에도 22일 만에 6.1조↑

주담대 신규취급액도 2021년 넘어 최대…수도권 주택에 70% 안팎 몰려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한지훈 민선희 기자 = 최근 주요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이나 신규 취급액이 역대 최대 규모에 이르렀다.

집값 자체가 과거보다 많이 오른 상태에서 매매까지 늘어나면서, 이른바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 규모가 약 3년 전 코로나19 초기 '0%대 기준금리' 시대를 넘어섰다.

더구나 주택담보대출의 수도권 쏠림 현상까지 심해져 여러모로 부동산·금융시장의 '불균형'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 8월 들어 주담대 6조1천456억↑…7월 기록도 깰 기세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 7월 말 주택담보대출(전세자금대출 포함) 잔액은 559조7천501억원으로, 6월 말(552조1천526억원)보다 7조5천975억원 불었다.

연합뉴스 취재 결과 7월 증가 폭은 5대 은행에서 확인할 수 있는 2016년 1월 이후 시계열 가운데 월간 최대 기록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현재 주택 가격 수준이 2016년 전 과거보다 월등히 높기 때문에, 2016년 이전 주택거래가 활발했을 때도 이렇게 크게 주택담보대출이 불어난 적은 없었다"며 "따라서 현재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이 사실상 역대 최대라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심지어 8월에는 이 기록마저 한 달 만에 깨질 가능성이 있다.

22일 현재 5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잔액(565조8천957억원)은 7월 말(559조7천501억원)과 비교해 6조1천456억원이나 더 늘었다. 월말까지 열흘이나 남은 만큼, 이 속도가 유지질 경우 이달 증가 폭은 7월(+7조5천975억원)을 넘어설 수도 있다.

┌─────────────────────────────────────┐

│ 5대 은행 가계대출·주택담보대출 증감 추이(단위: 억원) │

│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자료 취합 │

├─────────┬─────────┬────────┬────────┤

│ │ 2024년 6월말 │ 7월말 │8월 22일│

├─────────┼─────────┼────────┼────────┤

│ 가계대출│ 7,085,723│ 7,157,383│ 7,225,286│

├─────────┼─────────┼────────┼────────┤

│ 전월비 증감│53,415│ 71,660│ 67,903│

├─────────┼─────────┼────────┼────────┤

│ 주택담보대출│ 5,521,526│ 5,597,501│ 5,658,957│

├─────────┼─────────┼────────┼────────┤

│ 전월비 증감│58,466│ 75,975│ 61,456│

└─────────┴─────────┴────────┴────────┘

◇ 최근 은행 주담대 신규취급액, '영끌 광풍' 2021년 웃돌아

이런 역대급 주택담보대출 증가 규모는 은행권 신규 대출 취급액 통계에서도 확인된다.

예를 들어 A 시중은행의 7월 주택구입 목적 개별 주택담보대출 신규 취급액(정책대출 포함)은 2조9천873억원에 이르렀다.

2020년 코로나19가 유행하면서 시작된 0%대 초저금리(2020년 5월∼2021년 11월 기준금리 0.5∼0.75%)를 업고 영끌이 절정이었던 2021년 8월(1조8천74억원)보다도 1조1천억원 이상 많은 취급액이다.

B 시중은행도 지난 7월 같은 조건의 주택담보대출을 1조1천629억원 새로 내줬다.

역시 이 은행에서 약 3년 전 신규 취급액이 정점을 찍었던 2021년 11월(9천102억원)을 이미 훌쩍 넘어섰다.

또 다른 C 은행 관계자도 "당행을 비롯해 대부분의 주요 시중은행에서 지난 7월 주택담보대출 신규 취급액은 시계열을 확인할 수 있는 2016년 이후 월별 최대 기록을 세웠다"고 전했다.



┌─────────────────────────────────────┐

│ A 시중은행 주택구입 목적 개별 주택담보대출 신규 취급액(정책대출 포함) │

│(단위: 백만원, %) │

├───────┬───────┬───────┬──────┬──────┤

│ │21.8월│24.5월│ 24.6월 │ 24.7월 │

├───────┼───────┼───────┼──────┼──────┤

│수도권│ 1,382,379│ 1,103,198│ 1,910,164│ 2,050,562│

├───────┼───────┼───────┼──────┼──────┤

│ 비수도권 │ 425,008│ 647,423│ 792,070│ 936,719│

├───────┼───────┼───────┼──────┼──────┤

│ 합계 │ 1,807,386│ 1,750,621│ 2,702,235│ 2,987,281│

├───────┼───────┼───────┼──────┼──────┤

│ 수도권 비중 │76│63│ 71│ 69│

└───────┴───────┴───────┴──────┴──────┘

┌─────────────────────────────────────┐

│ B 시중은행 주택구입 목적 개별 주택담보대출 신규 취급액(정책대출 포함) │

│(단위: 백만원, %) │

├───────┬───────┬───────┬──────┬──────┤

│ │ 21.11월│24.5월│ 24.6월 │ 24.7월 │

├───────┼───────┼───────┼──────┼──────┤

│수도권│ 721,841│ 380,889│ 515,651│ 796,204│

├───────┼───────┼───────┼──────┼──────┤

│ 비수도권 │ 188,408│ 302,580│ 316,667│ 366,709│

├───────┼───────┼───────┼──────┼──────┤

│ 합계 │ 910,249│ 683,469│ 832,318│ 1,162,913│

├───────┼───────┼───────┼──────┼──────┤

│ 수도권 비중 │79│56│ 62│ 68│

└───────┴───────┴───────┴──────┴──────┘

◇ 고가 주택 늘고 부동산 규제까지 완화…주담대 규모 커져

그 어느 때보다 크고 강한 영끌은 높은 집값과 고가 주택 중심 거래, 부동산 규제 완화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올해 8월 22일까지 수도권 아파트 매매 거래는 모두 11만3천건 정도로, 현재 추세로 미뤄 작년(계약일 기준) 전체(13만2천건)를 넘어설 것 같다"며 "하지만 저금리 시대였던 2021년(18만9천건)보다는 적다. 그런데도 은행 주택담보대출 신규 취급액이 현재 더 많은 것은 고액 거래가 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2021년 당시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아파트 매매거래 가운데 9억원 초과∼15억원 이하, 15억원 초과 물건의 거래 비중은 각 10.57%, 4.42%에 불과했다.

하지만 올해(8월 22일까지)의 경우 각 비중이 15.95%, 7.75%로 급증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집값이 오른 데다가 부동산 규제 완화로 주택담보대출비율(LTV)도 상향 조정되면서, 집을 담보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한도 자체가 늘었다"며 "그 결과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도입되고 강화돼도 대출금액 자체가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아파트 거래가격대별 연간 비중(단위: %) │

│ ※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데이터 분석│

├──────────┬────┬─────┬───┬──────────┤

││2021년 │2022년│2023년│2024년(8월 22일까지)│

├──────────┼────┼─────┼───┼──────────┤

│1억원 이하 │3.78│ 6.32│ 1.96│1.64│

├──────────┼────┼─────┼───┼──────────┤

│1억 초과∼3억 이하 │ 27.71│ 28.13│ 18.97│ 15.65│

├──────────┼────┼─────┼───┼──────────┤

│3억 초과∼6억 이하 │ 33.58│ 36.57│ 41.58│ 36.57│

├──────────┼────┼─────┼───┼──────────┤

│6억 초과∼9억 이하 │ 19.95│ 16.48│ 20.39│ 22.44│

├──────────┼────┼─────┼───┼──────────┤

│9억 초과∼15억 이하 │ 10.57│ 8.5│ 11.79│ 15.95│

├──────────┼────┼─────┼───┼──────────┤

│15억 초과 │4.42│ 4.01│ 5.32│7.75│

└──────────┴────┴─────┴───┴──────────┘

◇ 주담대 중 수도권 대출이 70%…DSR 강화·MCI 중단도 수도권 겨냥

사상 가장 빠른 주택담보대출 증가 속도뿐 아니라 수도권 쏠림 현상도 걱정거리다.

A 은행의 올해 6월 주택구입 목적 개별 주택담보대출 신규 취급액 가운데 수도권(서울·경기·인천) 담보 물건에 대한 비중은 71%에 이르렀다.

지난해 3월(71%) 이후 1년 3개월 만에 다시 70%대에 진입했다가 7월(69%) 소폭 낮아졌다.

B 은행의 7월 수도권 신규 주택담보대출 비중(68%)도 2023년 4월(74%) 이후 최고점을 찍었다.

금융 당국이 다음달 실행되는 2단계 스트레스 DSR 규제에서 은행권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금리에 당초 예정된 0.75%포인트(p)보다 큰 1.2%p의 스트레스 금리를 적용해 한도를 더 줄이기로 결정한 것도 이런 현상과 관련이 있다는 게 은행권의 설명이다.

신한은행이 26일부터 조건부 전세자금대출과 함께 플러스모기지론(MCI·MCG)을 중단하기로 한 것도 비슷한 맥락이다.

MCI·MCG는 주택담보대출과 동시에 가입하는 보험으로, 이 보험이 없으면 소액임차보증금을 뺀 금액만 대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실상 대출 한도 축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MCI·MCG 가입이 제한되면 현재 지역별로 ▲ 서울 5천500만원 ▲ 경기도 4천800만원 ▲ 나머지 광역시 2천800만원 ▲ 기타 지역 2천500만원씩 대출 한도가 줄어든다.

shk999@yna.co.kr, hanjh@yna.co.kr, s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