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코로나19로 '산업구조 서비스화' 가속…공산품 비중은↓"
대외거래 비중 축소…수입의존도도 낮아져
한은 2020년 산업연관표 분석
(서울=연합뉴스) 한지훈 기자 =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을 거치면서 한국 산업구조의 서비스화가 가속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경제에서 의료·비대면 서비스를 중심으로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되고 공산품 비중이 축소되면서 구조 변동이 빨라진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2020년 기준년 산업연관표 작성 결과'에 따르면, 산출액 기준 서비스 비중은 49.3%로 직전 조사 때인 2015년(44.9%)보다 4.4%포인트(p) 높아졌다.
같은 기간 공산품 비중은 44.5%에서 40.2%로 4.3%p 낮아졌다.
부가가치 기준으로도 서비스 비중이 59.9%에서 63.8%로 3.9%p 늘어난 반면에 공산품 비중은 29.5%에서 26.0%로 3.5%p 줄었다.
정영호 한은 투입산출팀장은 "코로나19 시기 의료 및 비대면 관련 서비스 시장이 크게 성장했다"며 "산업구조의 서비스화가 지속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외거래 비중은 축소되고 수입의존도도 줄었다.
한국 경제의 재화와 서비스 총공급(총수요)은 2020년 5천221조2천억원으로 2015년(4천457조6천억원)보다 17.1% 증가했다.
이 중 수출(717조6천억원)과 수입(663조9천억원)을 합한 대외거래는 1천381조5천억원으로 총공급의 26.5%를 차지했다.
이는 2015년의 30.1%에 비해 3.6%p 줄어든 수치로, 코로나19로 인해 세계 경제가 위축되고 상품 교역이 감소한 것이 주된 원인이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아울러 최종 수요에서는 소비(46.6→49.4%)와 투자(21.6→24.0%) 비중이 나란히 확대된 반면, 수출(31.7→26.6%)은 큰 폭으로 축소됐다.
소비의 경우 민간소비(35.6→36.4%)와 정부소비(11.1→13.0%)의 역할이 함께 커졌다.
총산출액 대비 수출을 나타내는 수출률은 15.7%로 2015년(18.7%)보다 3.0%p 하락했다. 총산출액 중 중간재 수입액을 뜻하는 수입의존도도 10.7%로 1.8%p 줄었다.
국산품에 대한 최종수요가 1단위 발생했을 때 유발되는 생산의 크기를 나타내는 생산유발계수는 2020년 1.804로 5년 전(1.813)보다 소폭 하락했다.
중간재 국산화율이 높아졌으나, 중간투입률 자체가 낮아진 영향이다.
부가가치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서비스 비중이 확대된 덕분에 부가가치유발계수는 0.806으로 0.032p 상승했다.
다만, 미국(0.944), 일본(0.903), 영국(0.873) 등 주요국과 비교하면 부가가치유발계수가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고 한은은 부연했다.
수입유발계수는 수입의존도가 완화되고 국제유가도 하락하면서 0.246으로 0.030p 하락했다.
서비스의 전방연쇄효과도 상대적으로 커졌다. 한 산업의 발전에 그 산업의 생산물을 사용하는 다른 산업의 발전으로 유발되는 효과를 의미한다.
이 효과의 정도를 나타내는 감응도 계수는 서비스(2.015→2.211)가 상승했고, 공산품(2.040→1.925)이 하락했다.
hanj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