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기업에 행동주의 펀드 공격 급증…방어수단 제도화해야"

입력 2024-03-25 11:00
"韓기업에 행동주의 펀드 공격 급증…방어수단 제도화해야"

한경협 '주주행동주의 부상과 과제' 보고서…4년간 행동주의펀드 공격 8.6배↑

공격 회피해 '비상장 전환' 日기업 2배 늘어…"자사주 매입 외 방어수단 없어"



(서울=연합뉴스) 이승연 기자 = 국내 기업에 대한 글로벌 행동주의 펀드의 공격 위험이 커지고 있어 기업의 방어권을 보장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25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김수연 법무법인 광장 연구위원에 의뢰해 작성한 '주주행동주의 부상과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행동주의 펀드의 공격을 받은 한국 기업 수는 2019년에 비해 9.6배로 증가했다.

보고서는 영국 런던 소재 글로벌 기업거버넌스 리서치업체 '딜리전트 마켓 인텔리전스'의 조사 결과를 인용해 이같이 밝혔다.

행동주의 펀드는 타깃 기업의 소수 지분을 매입한 뒤 경영진에게 요구사항을 전달하고, 이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다른 주주를 설득하거나 주주총회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며 기업과 적대관계를 형성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보고서는 최근 아시아 지역을 대상으로 한 행동주의 펀드의 공격이 증가하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조사 결과 작년 아시아 지역에서 발생한 행동주의 펀드 공격은 총 214건으로 지난 2022년(184건)보다 16.3% 증가했다. 같은 기간 북미는 9.6% 증가하고, 유럽은 7.4% 감소한 것과 비교된다.

아시아 중에서도 일본과 한국은 행동주의 펀드의 주요 타깃이 되고 있다. 작년 피공격 기업 글로벌 순위 2위와 3위를 각각 기록했다.

작년 행동주의 펀드의 공격을 받은 일본의 기업 수는 103개사로 2019년 68개사에서 0.5배 증가했고, 한국 기업 수는 2019년 8개사에서 작년 77개사로 8.6배 늘었다.

김 연구위원은 "글로벌 행동주의 펀드의 공격이 한국, 일본 등 아시아권에 집중되고 있다"며 "행동주의 대응에 익숙하지 않은 아시아 기업이 손쉬운 먹잇감이 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행동주의 펀드가 '스와밍'(하나 이상의 행동주의 펀드가 타깃 기업을 동시에 공격하는 방식) 전략 등으로 기업을 손쉽게 압박할 수 있다는 것을 체감하고 있어 앞으로 기업의 대응이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로 미국에서 발생한 스와밍 사례는 2020년 7건에서 2021년 9건, 2022년 17건으로 증가했다.

대표적으로 월트 디즈니는 서드 포인트, 트라이언 파트너스 등 행동주의 펀드에 의해 공격을 받아 지난 2022년 서드 포인트 측 인사 1명의 이사회 진출을 허용한 바 있다.

보고서는 행동주의 펀드에 시달리던 일본 기업들이 회사를 비공개로 전환하고 있는 현상에도 주목했다.

세계적인 사모펀드 칼라일 그룹에 따르면 비상장 전환한 일본 기업은 2015년 47개사에서 2022년 135개사로 2배 이상 증가했는데, 이들의 주된 전환 사유는 행동주의 펀드의 공격을 피하기 위해서였다.

김 연구위원은 현재 한국 기업들이 자사주 매입 외 행동주의 펀드에 대한 방어수단이 없어 일본과 같이 상장폐지를 결정하거나 상장 자체를 기피하는 경향이 생길 수 있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한국 자본시장은 참여자의 자율성보다 정부의 규제가 강하고, 자본시장 큰 손인 국민연금도 정부 영향력 아래에 있다"며 "기업을 둘러싼 환경이 빠르게 변하는 만큼 지배주주 견제와 감시에만 초점을 맞출 게 아니라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균형 있게 제도를 설계해야 한다"고 밝혔다.

winkit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