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외날개' 韓수출…서비스수출 OECD 최장 감소·낙폭 2위
작년 3분기 7.6% '뚝', 4분기 연속 줄어…'상품 수출' 회복세와 대비
글로벌 호황에도 부진 '역주행'…"서비스 수출 비중 높여야"
(세종=연합뉴스) 민경락 기자 = 지난해 우리나라 서비스 수출이 전 세계적인 서비스 교역 활황에도 기록적인 마이너스 역주행을 거듭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의 또 다른 한축인 '상품 수출'이 반도체 중심으로 뚜렷한 회복세를 보인 것과 대비되는 모습이다.
답보하는 서비스업 경쟁력이 한국 경제의 주된 동력인 수출 경쟁력을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9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자체 집계한 자료를 보면 지난해 3분기 한국의 국제수지 서비스 수출액(원계열·명목)은 300억1천100만달러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7.6% 감소했다.
이는 OECD 39개 회원국 중 덴마크(-20.0%)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감소 폭이다.
한국 서비스 수출액은 2022년 4분기 5.8% 줄어든 뒤로 4개 분기 연속 감소세가 이어졌다. OECD 회원국 중 가장 긴 것으로 4개 분기 연속 수출이 줄어든 국가는 한국과 이스라엘 2개국뿐이다.
감소 폭은 지난해 1분기 12.3%로 정점을 찍은 뒤 2개 분기 연속 줄었지만 주요국과 비교하면 여전히 낙폭이 컸다.
지난해 세계 주요국 서비스 수출은 코로나19 엔데믹 영향이 지속하면서 회복세가 뚜렷했다.
지난해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서비스 수출액은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9.7% 증가해 한국(-7.6%)과 대비를 이뤘다.
한국 서비스 수출이 2022년 4분기부터 4개 분기 연속 감소하는 동안 OECD 평균은 오히려 4.0%, 7.4%, 8.0% 늘며 매 분기 증가 폭을 키웠다. 39개 회원국 중 3분기 서비스 수출이 줄어든 국가는 한국을 포함해 6개국에 불과했다.
한국 서비스업 수출 불황의 주된 이유로는 제조업에 비해 낮은 글로벌 경쟁력이 꼽힌다. 한국의 서비스 수출 규모는 전 세계 15위 수준으로 상품 수출(6위)에 비해 국제적 위상이 낮다.
취약한 서비스 경쟁력은 한국 수출이 반도체 등 '상품'에 과도하게 편중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작년 3분기 기준 한국의 서비스 수출 비중은 15.8%로 주요 7개국(G7·29.9%)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그나마 해운 등 운수 서비스는 한국이 경쟁력이 있는 서비스 분야로 꼽히지만 지난해 글로벌 교역에 따른 해운 업황 부진으로 한국 서비스업의 약세가 두드러졌다는 것이 정부의 분석이다.
서비스 수출 부진이 심화하면 지난해 말 본격화한 상품 중심의 수출 회복세를 상쇄해 경제 성장 동력을 갉아먹을 수 있다.
올해 고금리·고물가에 따른 소비·투자 부진, 역대급 세수 감소로 인한 재정 긴축 등으로 민간과 정부 소비가 동시에 위축된 상황에서 수출은 올해 한국 경제의 사실상 유일한 버팀목으로 꼽힌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달 직접 '2027년 서비스 수출 10위권 진입'을 목표로 제시하기도 했지만 복잡한 이해관계 탓에 정부는 이렇다 할 정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서비스업발전기본법 등 관련 법률도 수년간 국회 문턱조차 넘지 못하는 상황이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서비스업 경쟁력을 키워 서비스 수출 비중을 높이고 해운 중심의 경쟁력도 다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표> 한국·OECD 서비스 수출 증감률 (전년동기대비·%)
┌──────┬─────────────┬────────────────┐
││ 2022 │ 2023 │
│├──────┬──────┼─────┬────┬─────┤
││ 3ºÐ±a │ 4ºÐ±a │ 1ºÐ±a│ 2ºÐ±│ 3ºÐ±a│
├──────┼────┼────┼───┼a ──┼───┤
│CN±¹ │5.3 │-5.8│ -12.3 │ -8.3 │ -7.6 │
├ ─────┼──────┼──────┼─────┼────┼─────┤
│ OECD Æo±O│10.6│4.0 │ 7.4│ 8.0 │ 9.7│
└ ─────┴──────┴──────┴─────┴────┴─────┘
roc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