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백악관 "北-하마스 군사협력 모른다"…韓美 '엇박자'?

입력 2024-01-11 06:12
美백악관 "北-하마스 군사협력 모른다"…韓美 '엇박자'?

국정원 "北의 하마스 무기제공 규모·시기 증거 수집중"

한국은 오래 누적된 거래, 미국은 최신 거래 주목 가능성



(워싱턴=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미국 백악관이 10일(현지시간) 북한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사이의 군사적 협력에 대해 '아는 바 없다'는 입장을 밝힘에 따라 한미 양국의 정보 판단에 미묘한 '엇박자'가 난 듯한 모양새가 됐다.

존 커비 미국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북한이 하마스에 무기를 제공하고 있다는 의혹에 대해 질문받자 "하마스와 북한 사이에 어떤 군사적 협력이 있다는 조짐에 대해 인지하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반면 앞서 한국 국가정보원은 지난 8일 하마스가 사용한 F-7 로켓의 신관(포탄 기폭장치) 부품이 북한산으로 보인다는 미국의소리(VOA) 방송 보도에 대해 "동일하게 판단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정원은 "북한이 하마스 등을 대상으로 무기를 제공한 규모와 시기에 관해 구체적인 증거를 수집·축적하고 있다"고 밝혔다.

양측이 완전히 상치되는 발언을 한 것은 아니지만 북한-하마스간 군사 거래 의혹에 대한 정보 판단에서 '온도 차이'가 감지됐다.

우선 한미가 파악하고 있는 북한의 대(對)하마스 무기 수출 등 협력에 '시차'가 존재한 것일 수 있어 보인다.

한국 측은 과거 오랜 기간에 걸쳐 북한과 하마스 간에 무기 거래가 이뤄졌다고 판단한 반면, 미 측은 작년 10월 7일 하마스의 이스라엘 기습 공격을 즈음한 시기와 그 이후로 국한해서 '거래 조짐이 없다'는 판단을 밝힌 것일 수 있는 것이다.

미국이 최근 북한과 러시아 간 무기 거래와 러시아의 해당 무기 사용 정황을 공개한 것을 보면 대부분 '현재진행형'인 사안들이었다.

결국 커비 조정관 발언은 공개할만한 북한-하마스 군사 거래의 '최신 증거'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취지였을 수 있어 보인다.

아울러 북한산으로 보이는 무기가 확인됐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북한-하마스의 군사협력으로 규정할 수 있을지에 대해 의견이 다를 수 있다.

미국으로선 하마스가 북한에 직접 '주문'을 넣고 무기도 직접 전달받은 것이 아니라, 제3국의 개인 또는 단체 등 중개상을 거쳐 북한 무기가 하마스에 건너갔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을 수 있는 것이다.

아직 한미 당국의 구체적인 후속 언급이 없는 상황에서 곧바로 '정보 판단 엇박자'처럼 보이는 이번 일이 의미하는 바를 단정하긴 어려워 보인다.

다만 이미 우크라이나와 중동에서 '2개의 전쟁'에 관여하고 있는 미국 바이든 행정부로선 고도의 민감성을 가진 북한 문제에 대해 최대한 입증된 내용에 기반해 입장을 밝히는 신중한 태도를 취하려 하는 것으로 관측통들은 보고 있다.

더구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상임이사국이자 전세계 대량살상무기 비확산 체제의 중심축 역할을 하고 있는 미국으로선 북한산 대량살상무기 등이 중동의 비국가조직에 흘러 들어가는 것을 최악의 시나리오 중 하나로 여긴다.

그런 만큼 미국으로선 북한과 하마스 간의 거래가 포착됐다고 인정할 경우 그것은 중요한 안보 관련 '구멍'이 있음을 자인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대응책 마련에 나서지 않을 수 없는 입장이 된다.

jhc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