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옥문 열리는 듯"…수세 몰린 우크라군 '방어 모드'

입력 2024-01-09 10:35
수정 2024-01-09 16:11
"지옥문 열리는 듯"…수세 몰린 우크라군 '방어 모드'

헤르손 남부 빼고 전지역 방어태세로 전환…러 반격 본격화

러 자폭드론 인해전술에 차량도 못써…두발로 걸어 작전



(서울=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 "폭탄이 날아오면 제트기가 머리 위로 떨어지는 듯한 소리가 난다. 그럴 때면 지옥문이 열리는 것 같다."

야심차게 준비했던 '대반격'이 실패로 돌아가고 러시아군의 반격이 본격화하면서 최전선 우크라이나 병사들이 갈수록 수세에 몰리고 있다.

8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우크라이나군은 1천㎞에 이르는 광활한 전선 대부분 지역에서 '방어 모드'에 들어간 상태다.

우크라이나군이 아직도 공세를 유지 중인 전선은 드니프로강 주변에서 격전이 벌어지는 헤르손 남부뿐이라고 한다.

NYT 취재진과 만난 우크라이나군 제117 독립 기계화 여단 병사들은 "사기는 괜찮지만, 육체적으로는 기진맥진한 상태"라고 토로했다.

작년 6월부터 개시된 대반격으로 우크라이나가 얻어낸 몇 안 되는 성과인 자포리자주 로보티네 지역을 사수하는 부대들은 거의 매일 러시아군의 공격을 받고 있다.

우크라이나 국가근위대 소속의 한 소대장은 "마치 탁구를 하는 것 같다"면서 "100∼200m 정도의 땅을 빼앗기고 다시 탈환하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런 상황에서 러시아군은 갈수록 공세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작년 3월부터 우크라이나 전선에 투입된 러시아군 활강유도폭탄이 우크라이나군 지하 벙커를 위협하는 일도 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제14 체르보나 칼리나 국가근위대 여단의 27세 병사 '키트'는 ""그들(러시아군)은 두발씩, 두발씩, 두발씩 한 시간에 대략 8발을 떨어뜨린다"고 말했다.



이로 인해 한때 우크라이나군 대반격 작전의 전방 지휘소 역할을 했던 로보티네 북쪽 오리히우 마을은 학교를 비롯한 주요 건물 대부분이 커다란 분화구로 바뀐 채 폐허가 됐다.

시도 때도 없이 날아드는 소형 무인기(드론)도 우크라이나군 병사들을 위축시키고 있다.

상업용 저가 드론을 개조한 이 무기는 각종 폭발물을 실은 채 자동차만큼 빠르게 날 수 있는 까닭에 값싸고 신속하게 상대방을 타격할 수 있는 무기로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드론의 위협 때문에 우크라이나군 병사들은 지하실에 머물거나 항상 몸을 숨겨야만 한다. 차량도 사용하지 못해 작전에 투입될 때도 도보로 이동해야 하는 형편이다.

'바르바르'란 호출명을 쓰는 한 국가근위대 병사는 "차로 이동하는 건 극도로 위험하다"면서 자신이 소속된 부대는 작년 9월부터 장갑차를 놓아두고 진지까지 10㎞씩을 걷고 있다고 말했다.

기동성을 잃어버린 우크라이나군은 최전선에 병력과 물자를 제때 보급하는 데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제117 여단 소속 중대장인 '아돌프'는 우크라이나군의 대반격 작전이 지속되지 못한 데는 탄약과 식량 운반, 부상자 후송이 쉽지 않은 상황도 한 원인이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전쟁에서 개조한 상업용 드론을 군사용으로 쓰기 시작한 건 우크라이나 측이 먼저였지만, 현재는 우크라이나군의 전술을 모방한 러시아군이 띄우는 드론의 숫자가 압도적으로 많다고 한다.

심지어 러시아군은 드론에 실린 스피커로 총격음을 재생하거나 최루탄을 떨어뜨려 우크라이나군 병사들이 은신처에서 뛰쳐나오게 한 뒤 폭발물을 투하하는 수법까지 동원하고 있다.

우크라이나군 병사 '키트'는 "러시아는 국가 차원에서 드론에 관심을 두고 있는 듯하다"면서 우크라이나는 여전히 드론 프로그램과 관련해선 자원봉사자와 민간의 기부에 크게 의존하는 것 같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우크라이나군도 자폭 드론으로 반격을 가하고 있지만 전자교란 등에 막혀 성공률이 떨어지고 있다.

최전방에서 드론으로 러시아군을 공격하는 우크라이나군 병사들은 '여러 드론 중 하나만 목표물을 타격하며 다수는 재밍이나 여타 간섭으로 손실된다'고 밝혔다고 NYT는 전했다.

hwangc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