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EU 디지털 제품여권 도입…기업 대응 서둘러야"
이르면 2026년 우선순위 산업분야부터 적용
(세종=연합뉴스) 차대운 기자 = 유럽연합(EU)이 이르면 2026년부터 '디지털 제품 여권'(DPP·Digital Product Passport) 제도를 도입할 것으로 예상돼 국내 기업들이 탄소 발자국 감축 등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개선 노력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가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통상연구원은 5일 펴낸 'EU의 디지털 제품 여권 추진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디지털 제품 여권 제도 도입 근거가 되는 EU의 '에코 디자인 규제안'(ESPR)이 연중 EU 이사회와 의회의 최종 승인 후 발효될 예정이라면서 빠르면 2026년부터 분야별로 도입이 시작될 것으로 전망했다.
디지털 제품 여권은 EU에서 유통되는 모든 제품의 생애 주기 정보를 디지털로 수집·저장해 공유하는 제도다. 제품 생애 주기에는 제품의 생산, 유통, 판매, 사용, 재활용 등 전 과정이 포함된다.
디지털 제품 여권에는 원자재 공급, 유통 관련 정보뿐 아니라 제품 내구성, 재활용·수리 가능성, 재활용 원재료 비율, 환경 발자국 등 제품의 지속가능성 정보가 포함된다.
보고서는 "EU에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과 공급망 참여 기업의 사전 준비가 필수적"이라며 "우리 기업이 EU 디지털 여권 추진 동향 모니터링, 공급망 단계별 정보 축적 및 디지털 기술 도입, 탄소 발자국 감축, 인권·노동 문제 해결 등 ESG 항목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보고서는 정부와 유관 기관도 ▲ 배터리 및 섬유 파일럿 전자여권 제작 지원 ▲ 중소기업 전자여권 대응 지원 및 인프라 구축 ▲ 산업별 탄소 발자국 산정 및 감축을 위한 탄소 배출 관리 플랫폼 구축 등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김희영 연구위원은 "디지털 제품 여권은 유럽이 추진 중인 지속가능성, ESG 규제의 이행 여부를 확인하는 강력한 도구로 자리 잡을 전망"이라면서 "디지털 제품 여권 구현 기술 준비와 함께 탄소 발자국 등 디지털 제품 여권에 담길 내용을 우리 기업이 차근차근 준비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ch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