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내년 성장률 전망 2.3→2.2%…물가 전망은 2.5→2.6%

입력 2023-11-09 12:00
수정 2023-11-09 14:56
KDI, 내년 성장률 전망 2.3→2.2%…물가 전망은 2.5→2.6%

민간소비 큰폭 위축 우려…올해 성장률 전망도 0.1%p 낮춘 1.4%

"내년 성장률, '고'(高)라고 보기 어렵다…완만한 속도로 회복"



(세종=연합뉴스) 민경락 송정은 기자 =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와 내년 우리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소폭 하향 조정했다.

고금리 기조 등을 반영해 민간 소비는 재화 소비를 중심으로 위축될 것으로 봤지만 반도체 수출에 힘입어 경제가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KDI는 물가 안정을 위해 당분간 현재의 긴축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중장기적인 성장률 하락 속도를 늦추기 위해 구조개혁이 필요하다는 제언도 내놨다.

KDI는 9일 이런 내용의 2023 하반기 경제전망을 발표했다.



◇ KDI "경제 회복 속도 아주 완만할 것"

KDI는 내년 국내총생산(GDP)이 내수 증가세 둔화에도 수출을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면서 올해보다 2.2%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한국은행 전망치와 같고 정부 전망치(2.4%)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전망치(2.1%)보다는 소폭 높다.

KDI는 지난 8월 수정 경제전망 당시에는 상반기에 내놓은 전망치인 2.3%를 유지했지만 이번 전망에서는 0.1%포인트(p) 하향 조정했다.

KDI는 내년 성장률이 잠재성장률 수준(2%)을 소폭 웃돌겠지만 이는 올해 낮은 성장률에 따른 기저효과 영향이 크다고 설명했다.

올해보다 성장률은 큰 폭으로 올라갈 것이지만 고금리 영향으로 민간소비·설비투자가 제약을 받아 경기 회복세는 완만할 것이라는 의미다.

올해 GDP 성장률은 8월 수정 전망(1.5%) 때보다 0.1%p 낮은 1.4%로 예상했다. 정부·한은·IMF 전망치와 같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내년 2.2% 성장률은 '고(高)'라고 보기 힘들고 밑에서 점점 '중'(中)에 가까운 수준으로 올라가는 것"이라며 "우리 경제는 아주 완만한 속도로 회복될 것"이라고 말했다.



◇ 고금리·고물가 영향에 상품소비·건설투자 부진 지속

KDI는 내년 민간소비 증가율을 8월 수정 경제전망(2.4%) 때보다 0.6%p 낮아진 1.8%로 예상했다.

고금리 기조로 상품소비 부진이 지속할 것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설비투자 역시 고금리 장기화 영향으로 부진한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봤다.

다만 수출 회복과 올해 저조한 증가율에 따른 기저효과로 내년 2.4%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건설투자는 주택 부문 중심의 건설 수주 위축 여파로 1.0%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반도체 중심의 수출 회복세는 한국 경제 회복을 견인하는 주된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서비스 수출도 여행 수요가 점진적으로 회복되면서 높은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경상수지는 수출 회복세에 더해 내수 증가세가 둔화하면서 흑자 폭이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6%로 전망했다.

지난 8월 수정 전망(2.5%) 때보다 0.1%p 올려잡은 것이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8월 전망(3.5%) 때보다 0.1%p 높은 3.6%로 예상했다.

당시 경제 전망 때 전제로 한 내년 국제 유가 전망치가 기존 배럴당 75달러에서 85달러로 상향 조정된 영향이다.

내년 소비자물가는 내수 증가세 둔화 영향으로 올해보다는 다소 안정을 찾을 것으로 예상했다.

근원물가 역시 수요 둔화 영향으로 올해 3.5%에서 내년 2.4%로 상승 폭이 축소될 것으로 분석했다.

내년 취업자 수 증가폭은 올해(32만명)보다 줄어든 21만명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실업률은 올해 2.7%, 내년은 3.0%로 예상했다.

KDI는 30대 여성 중심으로 노동 공급이 확대되면서 내년에도 인구 감소세 대비 높은 취업자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분석했다.



◇ "1%대 성장률 자연스러운 시기 올 것…구조개혁 필요"

KDI는 물가 안정을 위해 거시 경제 정책은 당분간 긴축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다만 국내 물가상승률이 주요국에 비해 낮은 편인 만큼 미국과 같은 강한 통화 긴축 기조는 요구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정규철 실장은 "현재 금리 수준을 당장 크게 변동시킬 필요성은 크지 않다고 생각한다"면서 "당장 긴축적 기조를 더 강화할 필요는 크지 않다"고 평가했다.

급속한 고령화로 복지지출 등 재정수요가 늘면서 중장기적 재정건전성이 위협받고 있다며 재정지출에 대한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내놨다.

특히 빠르게 늘고 있는 의무 지출을 합리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경제 역동성 강화를 위한 노동시장 유연화, 교육제도 개편 등 구조 개혁에 정책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는 제언도 내놨다.

대외 위험 요인으로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등 지정학적 갈등 고조에 따른 국제 유가 급등, 중국 부동산 경기 급락 가능성 등을 꼽았다.

정규철 실장은 "5년 정도 지나면 (우리 경제가) 1%대 성장이 자연스러운 시기가 올 것"이라며 "구조개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성장률 하락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roc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