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서 대만 점유율 줄고 중국 늘어날 것"
IDC "지정학적 긴장 따른 변화"…SCMP "美 견제 불구 中 첨단기술 자립 진전 보여줘"
(홍콩=연합뉴스) 윤고은 특파원 = 미국 등 여러 나라의 반도체 정책과 지정학적 긴장에 따른 변화로 향후 몇 년간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에서 대만 점유율이 줄고 중국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6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시장조사기관 IDC의 헬렌 치앙 아시아·태평양 반도체 연구 책임자는 이번 주 보고서에서 "지정학적 변화가 반도체 게임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다"며 이같이 전망했다.
IDC는 대만의 글로벌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점유율이 올해 46%에서 오는 2027년 43%로, 반도체 외주패키징기업(OSAT) 점유율은 지난해 51%에서 2027년 47%로 각각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반면 중국 파운드리 점유율은 올해 27%에서 2027년 29%로, OSAT 점유율은 작년 22.1%에서 2027년 22.4%로 각각 늘어날 것이라고 봤다.
IDC는 동시에 말레이시아와 베트남을 중심으로 동남아 국가의 글로벌 OSAT 점유율이 2027년이면 10%로 늘어날 것이라고 점쳤다.
치앙 책임자는 지난해 8월 미국 정부가 서명한 반도체법(CHIPS Act)과 다양한 나라가 추진하는 반도체 정책으로 반도체 기업들이 파운드리·조립·시험의 글로벌 배치를 점검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이는 '중국 플러스 1' 또는 '대만 플러스 1'의 생산 계획을 채택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반도체 산업은 글로벌 협력에서 다지역 경쟁으로 전환될 것"이라고 말했다.
IDC의 이러한 전망은 세계 기술 공급망에서 중국을 배제하려는 미국 주도의 노력이 펼쳐지고 있음에도 중국의 첨단 기술 자립 추진이 진전을 이루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SCMP는 짚었다.
IDC는 "중국이 첨단 반도체 제조 공정의 발전에서는 고전하고 있지만 성숙 공정에서는 내수와 국가 정책에 힘입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앞서 지난 7월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미국, 일본, 네덜란드 수출 통제에도 중국 반도체 파운드리의 12인치 웨이퍼 생산 점유율은 작년 24%에서 2026년 26%로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IDC는 이와 함께 미국이 반도체법으로 2027년까지 7나노(㎚, 10억분의 1m) 이하 첨단 공정의 점유율을 11%까지 끌어올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파운드리 분야에서 TSMC, 삼성전자, 인텔이 미국에서 첨단 제조 공정을 주도하고 있으며 이는 점차 반도체 생산 지형에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봤다.
반도체법은 미국 내 반도체 생산시설 확대에 총 520억달러(약 68조원)의 보조금을 지원하는 것을 골자로 한 법안이다.
현재 대만은 세계 반도체의 60% 이상, 첨단 반도체의 90% 이상을 생산하고 있다. 글로벌 반도체 생산 점유율이 약 12%에 머무는 미국은 반도체법을 통해 반도체 생산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미국 정부가 대(對)중국 반도체 장비 및 인공지능(AI)용 칩에 대한 추가적인 수출통제 조치를 조만간 발표할 것이라고 로이터통신이 지난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또한 유럽연합(EU)도 사실상 중국을 겨냥한 것으로 보이는 반도체 등 첨단기술 수출통제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EU의 행정부 격인 집행위원회는 EU와 다른 가치를 추구하는 국가들이 반도체, AI, 양자, 바이오 등 4대 첨단기술을 무기화할 위험성을 평가할 계획이다.
prett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