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국경절 황금연휴' 내수회복 도움될까…"국내여행 급증" 자평

입력 2023-10-04 17:16
中 '국경절 황금연휴' 내수회복 도움될까…"국내여행 급증" 자평

"국내 관광, '코로나 이전' 웃돌아…중소도시 '편안한 여행' 트렌드"

외국 관광객 유치에도 총력…"무비자 정책 복원·면세 적용 확대"



(베이징=연합뉴스) 정성조 특파원 = 경제 회복 둔화 우려 속에 내수 진작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중국이 8일 동안의 '국경절 황금연휴'를 맞아 국내 관광 소비가 확연히 늘었다는 중간 평가를 내놨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4일 업계 관계자를 인용해 "올해 중추절과 국경절 연휴 기간(9월 29일∼10월 6일)을 맞아 거의 5년 만에 여행업계가 가장 활기를 띠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 메이퇀(美團)에 따르면 지난달 20일 기준 이번 연휴 여행 관련 숙박·입장권·교통편 판매량은 코로나19 대유행 이전인 2019년의 두배로 증가했고, 식당 예약 역시 112% 늘었다.

중국 최대 온라인 여행플랫폼 씨트립(携程)은 연휴 첫날인 지난달 29일 전국 여행 상품 주문이 올해 노동절(5월 1일) 연휴 첫날보다 20% 많아졌다고 밝혔다.

또 쇼핑몰 선머즈더마이에선 8월 18일∼9월 18일 한 달 동안의 여행 상품 판매가 작년 동기 대비 565% 증가하기도 했다.



신화통신은 '역방향 여행'이 새로운 트렌드가 됐다고 강조했다.

베이징·상하이 등 대도시나 역사가 오래된 유명 관광지처럼 여행객이 원래 많이 몰리는 곳을 피해 지방 소도시를 찾는 자국민의 발걸음이 늘었다는 것이다.

씨트립 데이터에 따르면 산둥성 쯔보·취푸나 지린성 옌볜, 광시 좡족자치구 팡청강, 간쑤성 주취안, 허난성 난양, 쓰촨성 광위안, 허베이성 청더, 헤이룽장성 이춘, 네이멍구자치구 우란차부 등 이른바 '3선·4선도시'의 여행상품 판매량이 작년보다 10배 넘게 많았다.

중국에선 인구 1천만명 이상이거나 경제가 발달한 베이징·상하이·광저우·선전 등을 1선도시로, 인구가 500만명을 넘거나 1선도시에 버금가는 경제력을 가진 장쑤성 우시, 후난성 창사 등 도시를 2선도시로 분류한다. 3선도시는 중소규모의 도시를, 4선도시는 소도시를 가리킨다.

여행플랫폼 취날의 데이터연구원 책임자는 "베이징과 상하이, 청두, 광저우, 항저우 등 인기 있는 도시를 빼더라도 젊은이들이 한단, 뤄양, 류저우, 화이안, 이춘 같은 지방 공항이 있는 소도시를 선택하는 경향이 점차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갈수록 많은 중국 소비자가 빡빡한 여행 일정을 짜는 '특수부대식 관광'이 아니라 '드러눕는(탕핑) 여행'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는 점도 새로운 특징이라고 신화통신은 전했다.

호텔에서 쉬거나 지역별 먹거리를 찾아다니는 여행이 늘고 있다는 설명이다.

선머즈더마이의 여행 부문 책임자 정신은 "드러눕는 여행과 역방향 여행이 새 트렌드가 된 주요 원인은 비교적 비용이 덜 든다는 점과 여행의 의의에 대한 대중 인식의 변화 때문"이라고 했다.



중국 당국은 경제 회복 둔화 속에 즉각적인 내수 진작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큰 관광·문화 산업 활성화에 공을 들여왔다.

특히 올해 7월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이 내수 부진 타개책으로 자동차·전자제품·가구 등과 함께 체육·레저·문화·여행 분야의 소비 확대를 특별히 꼽아 강조하면서 국내 관광 유도 정책들이 잇따라 발표됐다.

중국 국무원은 지난달 29일 '여행 소비 잠재력 발산과 여행업계 고품질 발전에 관한 조치'라는 종합대책을 발표했고 중앙·지방정부 각 부문에 관광 상품·시설 확충을 지시했다.

아울러 국무원은 외국인의 중국 관광을 늘리기 위해 비자·통관 정책도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무원은 "비자 수속 효율을 한단계 높이고 각종 무비자 정책을 질서 있게 복원해 무비자 국가의 수를 늘리는 방법을 적극 연구해야 한다"며 "항구비자나 경유 무비자, 지역 입국 무비자 등 여행업 발전을 위한 역할을 발휘하고, 크루즈 여행과 자동차 여행 등에 통관 편의를 보장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국제선 항공편 재개·확충과 서비스 인력에 대한 외국어 교육 강화, 다국어 표지 증설, 외국인 면세 확대 등의 제도 마련 방침도 하달했다.

xi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