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광물 수급 조기경보' 대상 망간·흑연·희토류로 확대
광해광업공단, 수급안정화지수 관리대상 6종→13종 늘려
(세종=연합뉴스) 차대운 기자 = 이차전지 등 첨단산업 공급망 안정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핵심광물 수급 이상 징후를 조기에 포착하기 위한 관리체계가 강화된다.
1일 자원 업계에 따르면 한국광해광업공단은 올해 핵심광물 수급안정화지수 관리 대상, 즉 조기경보 시스템 대상에 네오디뮴을 비롯한 희토류 5종류와 망간, 흑연을 추가한다.
이처럼 새로 7종이 추가되면서 공단이 관리하는 조기경보 시스템에 들어온 광물은 기존의 리튬, 코발트, 리튬, 동, 몰리브덴, 텅스텐 등 6종에서 모두 13종으로 늘어나게 된다.
공단이 관리 대상에 추가한 망간과 흑연은 각각 이차전지 양극재 핵심 재료, 음극재 주재료로 쓰이는 광물이다.
네오디뮴은 현재까지 개발된 자석 중 가장 강한 자력을 지녀 주로 모터 제품의 소형화, 경량화, 고효율화를 구현하는 데 필수 소재로 쓰인다.
이 가운데 흑연과 희토류의 중국 수입 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지난해 기준 흑연과 희토류 수입액 중 중국산 비중은 각각 92.5%, 50.4%였다.
공단은 광물별 가격 전망 추이와 함께 해당 광물 수급에 영향을 미치는 전 세계 공급·생산 비율, 생산 독점도, 수입 증가율, 수입국의 편재성 등 요인을 복합적으로 반영해 수급안정화지수를 산정해 한국자원정보서비스(KOMIS)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하고 있다.
지수는 '수급 위기'(0∼1), '수급 불안'(0∼5), '수급 주의'(5∼20), '수급 안정'(20∼80), '공급 과잉'(80∼100) 다섯 구간으로 나뉘어 관리된다.
장기화하는 미중 갈등 속에서 중국발 공급망 불확실성 우려가 커지면서 핵심광물 중국 의존도를 낮출 필요성이 커진 상태다.
정부는 리튬, 코발트, 흑연 등 33종의 핵심광물을 선정해 2030년까지 중국 의존도를 50%로 낮추고, 전기차 폐배터리 등 폐기물의 핵심광물 재자원화 비율을 20%로 높이는 내용을 담은 '핵심광물 확보 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최근 발표된 정부 예산안에 따르면 핵심광물 국가 비축 사업을 담당하는 광해광업공단의 내년 관련 예산은 기존의 372억원에서 2천331억원으로 2천억원 가까이 대폭 늘어났다.
이를 통해 24일 치 이상의 리튬, 60일분 이상의 갈륨, 1년 치 이상의 희토류를 확보할 계획이다.
ch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