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33년 지났는데…독일 지도층서 동독 출신은 여전히 소수
"동독 출신 인구 20%인데 정계·경제계·법조계 등 고위직선 12%"
(서울=연합뉴스) 김지연 기자 = 독일이 동서 통일을 이룬 지 33년이 지났으나 여전히 정·재계 등 사회 지도층에서 동독 출신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 DPA 통신과 도이체벨레(DW) 방송은 20일(현지시간) 발간된 '엘리트 모니터' 보고서를 인용해 정계와 재계, 법조계, 언론계, 문화계 고위층 가운데 동독 출신의 비율이 2022년 기준 12.2%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이는 2018년 10.8%보다는 높아졌으나 독일 인구 중 동독 지역 출신 비율(약 20%)에 비해서는 크게 낮은 것이다.
심지어 옛 동독 지역에서조차 고위층에서 동독 출신자 비율이 낮았다.
또한 이 보고서는 2018년보다 비율이 높아졌으나 장기적 상승세가 보이지는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번 보고서는 예나 대학과 라이프치히 대학, 괴를리츠·치타우 대학 연구진이 작성해 카르스텐 슈나이더 동독특임관 겸 연방총리실 정무차관이 발표했다.
연구진은 사회 엘리트층으로 분류한 약 3천개 직종 약 4천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분야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고위층은 서독 출신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군과 사법부, 기업 고위직에서 동독 출신의 비율은 5%에 미치지 못했다.
정계에서는 주(州) 단위에서 동독 출신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는데, 연방 단위로는 13%에 그쳤다.
연구진은 이같은 현상의 원인으로 동독이 연방에 편입되는 과정에서 일어난 사회 체계의 변화를 지목했다.
법학과 경제학, 사회과학 등 동독에서 취득한 일부 대학 학위가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는 등 동독 출신 지도층 인사가 서독 지역에서 통용되는 고위직 자격 기준을 맞추지 못하는 일이 생겼다는 것이다.
또한 관리자 직위 이상에서는 영어 실력이 중시되는데, 소련 영향을 받은 동독에서보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이던 서독에서 영어 교육이 더 널리 이뤄진 영향도 있었을 것으로 분석됐다.
설문조사에서도 자신이 고위직까지 올라갈 것으로 예상하는 동독 출신이 서독 출신보다 적었다.
cheror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