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작비 폭증속 과도한 콘텐츠 경쟁, 국내OTT 재정위기 불러"
글로벌 미디어 시장 전망 콘퍼런스 개최
(서울=연합뉴스) 이정현 기자 = 과도한 오리지널 콘텐츠 경쟁이 국내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업체들의 재무적 위기를 불러왔다는 진단이 나왔다.
이성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교수는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가 4일 주최한 '글로벌 미디어 시장전망 콘퍼런스'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교수는 엔데믹 전환으로 이용자 성장이 둔화한 상황에서 수익화 가능성에 대한 기대는 축소되면서 늘어나는 영업손실에 대한 우려가 증가했다고 짚었다.
국내 드라마 기준 2011년 회당 평균 제작비는 1억원 수준이었으나 2013년에는 3억7천만원, 2020년에는 7억원, 올해는 10억~12억원 수준으로 폭증했다.
오리지널 콘텐츠만이 '잭폿'을 터뜨릴 수 있다는 믿음 아래 벌어진 경쟁으로 일각에서는 한국이 글로벌 OTT 하청기지로 전락할 수 있다고 우려한 지도 오래다.
이 교수는 글로벌 OTT의 투자 규모 확대에 따라 글로벌-로컬 타깃에 따른 제작 시장의 이중화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교수는 이날 발제에서 OTT들이 경쟁 기반을 다양화하는 움직임도 포착된다고 밝혔다.
쿠팡플레이의 경우 아마존프라임의 모델을 참조한 멤버십 기반 서비스로 약진했다. 구독자 확보와 비용구조(쇼핑의 부가 서비스) 측면에서 강점을 극대화, 올해 6월 기준 실사용자 수가 486만명을 기록했다.
쿠팡플레이는 자사가 직접 주최, 주관, 중계하는 스포츠 이벤트와 예능 등 오리지널 콘텐츠의 성공, 극장 상영 중 독점 주문형비디오(VOD)를 서비스하는 '쿠플 클럽' 등 다양한 전략을 활용하고 있다.
버티컬 전략을 내세운 중소 규모 OTT 사례들도 소개됐다.
아시아 콘텐츠를 다루는 MOA, 애니메이션에 특화된 라프텔, 키즈 콘텐츠와 교육에 주력하는 아이들나라 등이다.
이 교수는 "혼란 속에서 기회를 찾아야 한다. 또 어떤 재원으로 시장의 파이를 키울 수 있는지와 전략적 협업, 새로운 판에 대해 고민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OTT 전문가로 꼽히는 S&P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의 제시카 푹 애널리스트는 "코드 커팅(유선방송에서 OTT로 시청 행태가 옮겨가는 것)이 대세이긴 하나 한국의 경우 다른 통신 서비스와 함께 제공되는 다채널 구독에 익숙하다"며 "또 한국은 디지털 엔터테인먼트에 더 많은 소비를 하는 편이며, 짧은 형식의 비디오가 인기"라고 분석했다.
이어 "콘텐츠는 여전히 핵심적인 차별화 요소"라며 "비용 관리와 유리한 투자이익률을 가진 콘텐츠를 식별하는 게 중요해질 것"이라고 했다.
lis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