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금융시장 부진 단기해소 어려워…국내전이 차단 대응 필요"
현대경제硏, 중국 금융시장 7대 리스크 요인 분석 보고서
(서울=연합뉴스) 오지은 기자 = 중국 부동산개발업체들의 부실 심화로 중국 금융시장이 위축되는 가운데 국내로 위기가 전이될 가능성도 커져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7일 현대경제연구원은 중국 금융시장의 7대 리스크 요인을 점검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 보고서를 내놨다.
연구원은 중진국 함정과 부동산 경기 부진, 그림자 금융, 누적된 기업·가계 부채 등을 리스크 요인으로 꼽았다.
중국은 부동산 관련 경제활동이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 후반으로 부동산에 대한 경제성장 의존도가 높다.
연구원에 따르면 중국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 부문에 과잉투자를 지속한 결과 부동산 경기 사이클에 따라 실물경기와 금융시장이 영향을 받는 취약점이 있다.
하지만 2019년 이후 중국의 주택 가격 상승률은 지속해서 둔화했고 지난해 4월 이후 감소세로 전환했다.
여기에 부동산 개발업체인 비구이위안과 완다그룹의 채무불이행 우려까지 제기되며 부동산 시장에 대한 우려가 끊이지 않는 모습이다.
부동산 경기를 나타내는 중국 부동산 경기지수는 지난해 이후 기준치(100)를 하회하고 있다.
표면으로 드러나지 않으면서 은행과 유사한 신용중개기능을 수행하는 '그림자금융'은 유동성 위험이 높고 투명성이 낮아 중국 금융의 시스템 불안 요인으로 지적된다.
중국 그림자금융의 GDP 대비 자산규모는 2021년 63.4%인데 그중 단기상품인 자산관리상품(WMP)이 차지하는 비중이 GDP 대비 54.6%로 유동성 위험이 큰 상황이다.
누적된 기업·가계 부채 역시 중국의 리스크 요인을 끌어올리는 요소로 여겨진다.
중국의 기업부채는 지난해 말 기준 GDP 대비 158.3%로 선진국(91.4%)과 신흥국(106.7%)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인다. 특히 전체 기업 수의 6.0%에 불과한 국유기업이 전체 기업부채의 42.6%를 차지하고 있다.
가계부채 증가세도 가파르다. 중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는 2006년 3월 11.5%에서 지난해 말 61.3%로 4배 이상 확대됐고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이후에도 기대만큼 소비가 진작되지 않고 있는 모양새다.
이밖에 미국 5.5%(상단기준), 중국 2.5%로 3.0%포인트(p)까지 벌어진 미중 간 기준금리 격차로 인해 중국 내 자본 유출 압력이 커진 점 역시 금융 불안을 가중하는 요인이다.
이에 연구원은 중국이 중진국 수준에 도달한 이후 장기간에 걸쳐 성장률 정체를 겪어 외국인 투자유인이 감소하는 '중진국 함정'에 빠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연구원은 "부동산 시장 부진, 그림자금융 등은 쉽게 해결될 수 없는 리스크"라며 중국의 금융시장 리스크가 단기간에 해소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중국과 한국 간 금융시장 동조성이 높은 상황에서 중국 시장 리스크가 전이될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며 "중국발(發) 불안을 완화하기 위한 디리스킹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연구원은 "중국 공급망 의존도를 축소하기 위해 원자재 조달 창구를 다변화하는 '차이나 플러스 원' 등을 마련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built@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