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일본 안보 기밀 전산망도 해킹…美日 정보 공유 차질"
워싱턴포스트 보도…"트럼프 행정부 말기에 인지…아직 우려 남아"
美국방장관, 일본에 우려 전달…일본 최고 보안망까지 뚫려
(워싱턴=연합뉴스) 김경희 특파원 = 2020년 말 일본 정부의 기밀 안보 정보망이 중국 인민해방군 산하 해커들의 공격을 받아 다량의 정보가 무차별로 노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가 부랴부랴 보안 강화에 나섰지만 미국과 정보 공유에 차질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워싱턴포스트(WP)는 7일(현지시간) 복수의 전현직 당국자를 인용, 2020년 말 중국군 해커가 일본의 기밀 군사망을 뚫는 데 성공했다고 보도했다.
해커들은 일본 최고의 보안을 갖춘 네트워크에 침입해 작전 계획을 비롯해 자산, 군사적 결점 등에 대한 모든 정보를 최대한 확보하고자 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사안을 보고받은 한 전직 당국자는 "충격적으로 안 좋은 상황이었다"고 당시를 회고했다.
해킹 사실을 처음 확인한 국가안보국(NSA) 폴 나카소네 당시 국장과 매슈 포틴저 당시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부보좌관은 일본으로 곧바로 날아가 해당 사실을 일본 방위상은 물론 일본 총리에게도 전달했다고 한다.
당시는 트럼프 행정부 말기이자 바이든 행정부로의 정권 이양기였고, 해당 사안은 차기 국가안보보좌관으로 내정된 제이크 설리번에게도 보고됐다.
일본 정부는 곧바로 보안 강화 조치에 들어갔지만, 여전히 중국의 스파이 행위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우려가 제기된다고 WP는 전했다.
실제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인 2021년 미국 당국은 여전히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것을 확인했고, 미국의 감독 하에 일본에서 사이버 보안 대책을 내놓았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미 국방부와 일본 사이에 군사 정보 교류에 일정한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은 이와 관련해 일본 정부에 사이버 보안이 담보되지 않을 경우 향상된 정보 공유가 느려질 수 있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진다.
일본은 한국과 함께 인도·태평양에서 미국의 가장 강력한 우군 가운데 하나다.
특히 그간에는 한국보다 더 긴밀하게 미국의 각종 군사 정보를 사실상 실시간으로 제공받아온 게 사실이다.
윤석열 대통령의 지난 4월 국빈 방미에서 채택한 워싱턴 선언으로 한미 안보 동맹이 한 단계 진화한 뒤에도, 미국은 후속 조치 과정에서 한미일 삼각 공조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일본까지 포함한 안보 동맹 구축에 공을 들여 왔다.
오는 18일 미국에서 예정된 한미일 정상회의에서도 확장억제 담보 방안이 의제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미일 정보 공유에 충분한 사이버 안보가 담보되지 않을 경우 일본까지 이 같은 틀을 확대하는 논의에 일정한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중국을 포함해 러시아 등 적국의 해킹은 미국의 지속적 골칫거리였지만, 최근 들어 핵심 인프라를 포함한 중국 해커들의 침입 강도는 한층 심각해지고 있다.
당장 지난달 마이크로소프트(MS) 클라우드망에 대한 중국 해커들의 공격으로 지나 러몬도 미 상무장관과 니컬러스 번스 주중 미국대사, 대니얼 크리튼브링크 국무부 동아태차관보 등 고위당국자의 이메일을 포함해 25개 기관의 메일 계정이 해킹되기도 했다.
kyungh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