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O '해운 넷제로' 잠정합의에 중소선사 한숨…조선업계는 미소
친환경선 발주 등 비용부담 늘어…'자금력 취약' 중소선사 타격 집중
정부 지원 확대 요청할듯…친환경선 선도 중인 韓조선업계엔 호재
(서울=연합뉴스) 김보경 이승연 기자 = 국제해사기구(IMO)가 2050년까지 해운업 분야의 '넷제로'(탄소 순배출량 0) 달성을 잠정 합의하면서 국내 해운업계에 미칠 여파에 관심이 쏠린다.
탄소배출 규제 강화로 국내 중소 선사들은 탄소세나 친환경선 발주에 따른 비용 부담을 떠안을 가능성이 크지만, 조선업체들은 친환경 선박 발주 증가라는 호재를 맞을 전망이다.
7일 미국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에 따르면 이달 3일(현지시간)부터 영국에서 열리고 있는 IMO 제80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80) 연례 회의에서 회원국들은 탄소 배출량 절감 방침을 명문화하는 협정에 공식 서명하기로 뜻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오는 2050년 해운업계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이 합의의 주요 내용으로, 합의문에는 2030년까지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최소 20%를, 2040년 70%를 감축해야 한다는 단계적 목표치도 담길 것으로 보인다.
탄소를 배출한 만큼 부담금을 납부하는 탄소 부담금 제도의 도입 여부도 이번 연례 회의에서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 탄소감축률 달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1t의 화물을 1해리 운송할 때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량을 지수화한 선박탄소집약도지수(CII) 등급 기준도 마련된다.
IMO가 탄소배출 규제에 속도를 내면서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2.7%가량을 차지하는 해운업계는 발등의 불이 떨어졌다.
특히 탄소 부담금이나 친환경 선박 발주에 따른 비용 증가를 가장 우려하고 있다.
탈탄소화에 발 빠르게 대응 중인 대형 선사들은 부담이 덜하지만, 자금력이 뒷받침되지 못하는 중소 선사들은 타격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도 최대 컨테이너 선사인 HMM을 제외한 대부분의 선사는 친환경 선박을 발주하기는커녕 막대한 탄소 부담금을 떠안아야 할 처지다. HMM은 지난 2월 HD한국조선해양 등과 9천TEU급 메탄올 컨테이너선 9척 발주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해운업계 한 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유럽이나 미국은 이미 입항을 위한 환경규제정책을 시행하고 있어 이들 항구를 오가는 대형 선사들은 넷제로에 대비해 단계별로 준비를 해왔다"며 "그런 면에서 이번 합의는 중소선사들의 탈탄소화를 압박하는 IMO의 메시지라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러나 국내 중소선사들은 자금력이 딸려 바로 대응할 수 있는 뾰족한 수가 없다"고 덧붙였다.
한 중소선사 관계자는 "준비하긴 했지만 '올 것이 왔구나'라는 느낌이 오면서 당황스럽다"며 "합의라 강제성이 없는 것처럼 얘기하지만 그것을 지키지 않을 때는 불이익이 충분히 예상된다"고 말했다.
해운업이 우리나라 수출을 뒷받침하는 기간산업인 만큼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온다.
현재 정부는 '국제해운 탈탄소화 추진전략'을 마련해 친환경 연료 선박 전환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IMO에 앞서 독자적인 탄소부담금 제도를 도입한 유럽연합(EU) 규제에 대응해 2030년까지 총 118척의 친환경 선박 전환을 지원할 계획이다.
한국해운협회 관계자는 "미국이나 유럽은 태양광이나 바이오 등 그린 에너지산업이 발달한 만큼 우리나라가 이러한 규제에 더 불리한 면이 있다"면서 "대응하기 위해서는 금융적인 면을 해결해야 하는데, 그런 부분에서 선사들이 정부 차원의 지원을 요청할 것으로 보인다"고 답했다.
다만 IMO의 합의는 친환경 선박 건조에 우위를 점하고 있는 한국 조선업계엔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세계 1위 조선업체인 HD한국조선해양이 2021년 8월 세계 최초로 덴마크 선사 머스크와 1만6천TEU급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8척에 대한 건조계약을 체결하는 등 한국 조선업계는 친환경 선박 분야를 선도 중이다.
따라서 규제 강화에 따라 노후선을 폐선하고, 친환경 선박을 발주하는 선사들이 증가한다면 그 수혜는 한국 조선업체들이 누릴 가능성이 높다.
특히 액화천연가스(LNG), 메탄올 등 친환경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들은 선가가 높은 고부가가치 선박인 만큼 한국 조선업계의 수익성 개선도 이끌 것으로 예상된다.
viv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