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중국 휴대폰 기업들에 인도인 경영진 채용·현지생산 압박

입력 2023-06-16 15:48
인도, 중국 휴대폰 기업들에 인도인 경영진 채용·현지생산 압박

잇따른 세무조사 등에 이어 中기업 인도화 시도

(서울=연합뉴스) 인교준 기자 = 세계 공급망의 탈(脫)중국 바람 속에 스마트폰 등 대체 생산지로 떠오른 인도가 사실상 샤오미·오포·리얼미·비보 등 중국 스마트폰 기업 내쫓기에 나서 주목된다.

중국 기업들은 인도에 일찌감치 진출해 '가성비'를 바탕으로 시장을 석권해 왔으나, 애플 진입을 등에 업은 인도 당국이 스마트폰 생산 자립을 추진하면서 중국 기업들이 밀리고 있는 것이다.

16일 중화권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인도 전자정보기술부는 자국에 진출해 있는 중국 스마트폰 기업들의 고위층을 불러 이른바 '지침'을 일방적으로 통보했다.



이들 기업 인도 현지법인의 최고경영자(CEO)·최고재무책임자(CFO)·최고운영책임자(COO)를 인도인으로 임명하고 인도 자본의 진입을 허용해야 하며, 스마트폰을 인도에서 제조·조립하라는 주문이었다.

잉커 로펌 인도 투자서비스센터의 설립자인 샤쥔은 인도 당국의 이런 요구는 기업 지배구조를 변경하라는 요구라고 짚었다. 중장기적으로 인도 현지 기업화하겠다는 의도라는 것이다.

중국 기업들의 인도 현지화를 통해 인도 내 스마트폰 생산을 점진적으로 늘리겠다는 게 인도 당국의 의지라고 할 수 있다.

샤오미 등 중국 기업들은 2014년부터 인도 시장에 진출해 저가 스마트폰 시장을 장악했다. 작년 점유율 조사에서 인도 휴대전화 사용자 3명 중 2명이 중국산을 쓰는 것으로 집계된 바 있다.

하지만 인도 당국은 미중 간 긴장 고조와 함께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을 거치면서 중국 내 스마트폰 생산이 차질을 빚게 된 걸 계기로 '중국 대체지' 행보를 가속하고 있다.

2017년 위스트론을 시작으로 대만 폭스콘과 페가트론 등 애플의 대만 협력업체들이 인도에 잇따라 진출한 데 이어 지난해 폭스콘 중국 정저우 공장의 대규모 노동자 탈출 사건 이후 스마트폰 생산지로서 인도가 부상했다.

애플은 최근 모델인 아이폰 14를 작년 9월부터 인도에서 생산하기 시작했고, 아이패드도 중국에서 인도로 생산지를 이전하는 것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최대 은행 JP모건체이스에 따르면 애플은 2025년이 되면 인도에서의 아이폰 생산 비중을 자사 전체의 25%로 늘릴 계획이다.

인도 당국은 애플 등의 인도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하면서 중국 기업들의 인도 현지화 압박 전략을 병행하고 있다.

사실 인도 당국의 이런 현지화 압박 전략은, 중국 기업 입장에선 시장 퇴출 요구로 받아들여진다. 앞서 인도 당국은 수년간 탈세·돈세탁 등의 혐의를 씌워 중국 기업들을 압박해왔다.

지난해 초 샤오미 인도법인은 인도 세무 당국으로부터 세금 회피를 이유로 65억3천만 루피(약 1천55억원)를 추징당했고 불법 해외송금 혐의로 555억 루피(약 9천140억원)를 압수당했다.



비보 인도 현지법인도 작년 7월 돈세탁 혐의 등으로 자산 46억5천만 루피(약 762억원) 상당을 압류당했다.

상하이 경제지 제일재경(第一財經)은 인도 당국이 샤오미·오포·리얼미·비보 등을 불러 회의를 열기 직전인 지난 9일 샤오미 인도법인에 외국환관리법 위반 사실을 통보했다면서, 이는 일종의 압력 행사라고 짚었다.

중국 스마트폰 기업들은 인도 현지법인의 주요 경영진을 인도인으로 채우면 중국 기업의 정체성은 사실상 소멸할 것이라면서 철수 여부를 검토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그러나 세계 최대 인구 대국인 인도는 스마트폰 시장이 포화 상태에 달한 다른 나라들과는 달리 성장 잠재력이 크고 중국 기업들의 시장점유율이 여전히 크기 때문에 중국 기업들은 고심하고 있다.

kjih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