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 뒤 10명 중 3명은 75세 이상…고령인구 비중 OECD 1위 된다

입력 2023-06-16 12:00
50년 뒤 10명 중 3명은 75세 이상…고령인구 비중 OECD 1위 된다

노인 빈곤율 개선됐지만 10명 중 6명 '실제 소득 부족'

75∼79세 40% '일하고 싶다'…직접 생활비 마련하는 경우 가장 많아



(세종=연합뉴스) 박원희 기자 = 약 50년 뒤 우리나라 인구의 30%는 75세 이상 노인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회원국 가운데 고령 인구 비중이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노인의 상대적 빈곤율은 개선되고 있지만, 10명 중 6명꼴로 소득이 부족하다고 느꼈다.

65∼74세 노인 가운데 60%가, 75∼79세 노인 중에서는 40%가, 근로를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은 이런 내용을 담은 '고령자의 특성과 의식 변화'를 16일 발표했다.

◇ 75세 이상 고령인구, 2070년 30% 차지…OECD 주요 회원국 가운데 1위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인구 가운데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올해 18.4%로 예상된다.

이 중 75세 이상 인구 비중은 7.7%로 65∼74세(10.7%)보다 작다.

OECD 주요 회원국과 비교하면 일본(17.0%), 이탈리아(12.7%), 영국(9.6%), 미국(7.4%) 등보다 낮은 수준이다.

그러나 이후 75세 이상 인구 비중이 점점 늘어나며 2037년에 16.0%로 65∼74세 비중(15.9%)을 웃돈 뒤, 2070년에는 30.7%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약 50년 뒤 우리나라 인구 10명 중 3명이 75세 이상 노인이 된다는 의미다.

이는 일본(25.6%), 스페인(24.8%), 이탈리아(24.1%), 폴란드(22.6%), 미국(16.0%) 등 OECD 주요 회원국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이다. 고령화 속도가 다른 나라보다 빠를 것으로 전망되는 것이다.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2037년 31.9%, 2070년 46.4%가 될 것으로 예측됐다.



◇ 고령자 상대적 빈곤율 개선됐지만 10명 중 6명 '실제 소득 부족'

2021년 기준 76세 이상 고령자의 상대적 빈곤율은 51.4%였다. 66∼75세 고령자의 상대적 빈곤율은 30.5%로 76세 이상 고령자보다는 낮았다.

상대적 빈곤율은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을 기준으로 중위소득 50% 이하에 속한 인구 비율을 의미한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76세 이상 고령자의 빈곤율은 2011년 55.3%, 66∼75세 고령자는 43.5%로 각각 3.9%포인트, 13%포인트 낮아졌다.

계층의식을 보면 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하'라고 생각하는 65∼74세 노인 비율도 46.8%로 10년 전인 2011년(57.3%)보다 낮아졌다.

75세 이상 노인 중에서는 59.0%가 '하'라고 생각해 65∼74세보다는 비율이 높았다. 다만 10년 전보다는 6.1%포인트 낮아졌다.



평균 생활비와 비교해 실제 소득수준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75세 이상 가구의 비율은 63.8%였다.

65∼74세 가구 중에서는 59.3%가 소득이 부족하다고 생각했다.

10명 중 6명은 생활비에 비해 소득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셈이다.

생활비는 본인·배우자가 주로 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5∼74세의 78.7%가, 75세 이상 중에서는 46.0%가 본인·배우자가 부담했다.

본인·배우자가 생활비를 부담하는 경우 65∼74세는 근로·사업소득으로 생활비를 마련하는 경우가 54.2%로 가장 많았다.

75세 이상은 연금·퇴직급여(42.4%)로 생활비를 마련하는 경우가 많았다.

◇ 65∼74세 60%, 75∼79세 40% '일하고 싶다'…시간제 근로 가장 원해

지난해 기준 장래 근로를 희망하는 65∼74세 고령자는 59.6%를 차지했다.

75∼79세 고령자 중에서는 39.4%가 근로를 희망해 65∼74세보다는 낮았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65∼74세는 11.9%포인트, 75∼79세는 11.8%포인트 각각 늘었다.

취업을 원하는 이유는 65∼74세와 75∼79세 모두 '생활비에 보탬이 되기 위해서'가 가장 많았다. 65∼74세에서는 53.9%, 75∼79세는 50.5%가 이렇게 대답했다.

고령자의 일자리 선택 기준은 65∼74세 중 33.5%가, 75∼79세 중에서는 43.1가 '일의 양과 시간대'를 가장 우선시했다.

장래 근로를 원하는 고령자들의 희망 일자리 형태는 65∼74세의 56.8%가, 75∼79세의 79.7%가 시간제 근로를 꼽아 전일제 근로보다 많았다.

encounter2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