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취업자 13만7천명 감소?…고령화에 왜곡되는 고용통계

입력 2023-05-15 06:07
청년취업자 13만7천명 감소?…고령화에 왜곡되는 고용통계

젊은 연령대 인구 줄면서 취업자 감소하는 현상 심화



(세종=연합뉴스) 박용주 기자 = 고용 통계에서 고령화 등 인구 변화가 만들어내는 착시효과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청년 취업자 감소의 상당 부분이 해당 연령대 인구 자체가 줄어들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15일 통계청의 고용동향에 따르면 4월 기준 15~29세 청년 취업자는 388만1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시점 대비 13만7천명 감소했다.

이는 1년 새 청년층 일자리가 13만7천개 사라질 만큼 고용 상황이 악화했다는 의미로 통상 해석된다.

고용 통계는 전통적으로 취업자 수 증감을 중시한다. 1년 전과 현 시점의 취업자 수를 비교해 고용 상황이 개선됐다 혹은 악화했다고 평가하는 방식이다.

다만 이런 방식은 지난해와 올해 인구가 비슷하다는 전제하에 성립하는 지표다. 인구가 늘거나 줄어드는 속도가 빠르다면 취업자 수 증감 지표를 곧이곧대로 보기 어려워지는 것이다.

4월 청년층 취업자 수를 해당 연령대 인구 증감까지 함께 보면 분석 내용이 상당 부분 달라진다.

4월 기준 15~29세 경제활동인구는 843만4천명으로 1년 전 대비 18만2천명이 줄었다. 여기에 지난해 4월 고용률 46.6%를 적용하면 인구 요인으로 청년층 취업자 약 8만5천명이 줄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즉 청년층 취업자 13만7천명이 줄어든 것은 맞지만, 이중 8만5천명은 해당 연령대 인구 자체가 줄어 사라진 것이며 나머지 5만2천명이 경제 상황으로 감소한 일자리다.

지난 1월의 경우 인구 요인이 취업자 수 증가·감소를 바꿔 놓기도 했다.

1월 중 청년층 취업자는 5만1천명 줄었는데 이중 인구 요인에 따른 감소분이 8만6천명이었다. 실제로는 취업자가 3만5천명 늘었는데 통계상으로는 5만1천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고령화 상황에서 인구가 급증하는 60세 이상에선 반대 현상이 나타난다.

4월 기준 60세 이상 취업자는 44만2천명이 늘었지만, 이중 인구에 따른 자연 증가분이 23만1천명이다. 즉 고령 취업자가 늘어난 절반 이상의 이유가 단순히 해당 연령대의 인구가 늘어났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런 요인 때문에 정부는 연령별 취업 현황은 취업자 수 증감과 함께 고용률이나 실업률 통계를 함께 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spee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