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정상회의 공동성명서 中 '경제적 강압' 우려 표할 것"

입력 2023-05-13 10:28
"G7 정상회의 공동성명서 中 '경제적 강압' 우려 표할 것"

로이터, 美관계자 인용…회원국간 '온도차'에 최종문구 조정될수도

G7 재무장관들은 에너지 글로벌 공급망 다각화 방안 연내 마련키로



(서울=연합뉴스) 송진원 기자 = 이달 19∼21일 일본 히로시마에 모이는 주요 7개국(G7) 정상들이 중국의 '경제적 강압'에 우려를 표하는 성명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로이터 통신이 12일(현지시간) 사안에 정통한 미국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이 관계자는 G7의 공동성명에 "중국 관련 대목"이 포함될 것이며, 특히 "중국의 경제적 강압 사례"가 언급될 것이라고 전했다.

또, 중국을 비롯한 다른 나라의 경제적 강압에 맞선 G7의 협력 방안도 문서로 제시될 것이라고 이 관계자는 덧붙였다. 별도의 "경제 안보 성명"에 구체적인 대응 계획이 포함될 예정이라고 한다.

다만 공동성명의 정확한 문구는 최종 발표 전까지 계속 조정될 것으로 보인다.

'경제적 강압'은 미국이 중국의 경제적 관행을 비판할 때 쓰는 표현이다. 통상 중국이 경제적 역량을 활용해 자국과 갈등을 빚은 무역 상대국에 보복을 가하는 것을 뜻한다.

중국의 경제적 강압을 비판해 온 미국은 이번 G7 정상회의에서 각국이 공동 대응책을 내놓길 희망했다.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은 G7 재무장관 회의 참석차 방문한 일본 니가타에서 11일 기자회견을 열고 "G7이 중국의 경제적 강압에 맞서 대응 방법을 검토 중"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우리는 미국과 중국 경제를 분리하려는 게 아니라 위험을 제거하고 다각화하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로이터는 이번 G7 정상회의가 경제 대국인 중국에 맞서 회원국들의 단결을 확인하는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짚었다.

G7 정상회의와 별개로 11∼13일 일본 니가타시에서 개막한 G7 재무장관 회의에서도 중국 제조업에 대한 각국 공급망의 '과도한 의존도'를 줄이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지만, 일부 국가는 중국에 대한 '해외 투자 통제' 같은 조 바이든 미 행정부 정책에 회의적이라고 로이터는 보도했다.

실제 G7 회원국인 독일과 프랑스의 경우 대(對)중국 입장이 미국과는 다소 결이 달라 보인다.

앞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지난달 5∼7일 중국을 국빈 방문해 '대만 거리두기' 발언과 친중 발언으로 비치는 언급을 해 관심을 끌었다.

지난 10일엔 독일 안나레나 배어복 외무장관과 프랑스 카트린 콜로나 외교장관이 파리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중국을 산업망에서 배제하는 디커플링(탈동조화)이 아니라 위험을 줄이는 디리스킹(de-risking)을 하자는 것이 독일·프랑스 정부의 입장이라고 밝혔다.

배어복 장관은 당시 독일은 "가능한 모든 분야"에서 중국과 함께 일하고 싶지만, 중국에 의존하는 상황이 가져올 위험을 무시할 수는 없다는 취지의 언급을 했다.



다만, 로이터가 인용한 미국 관계자는 이러한 G7 회원국 간 온도차에 대해 "물론 G7의 각 회원국은 어느 정도 중국에 대해 각자의 길을 개척하겠지만, 공통의 접근법으로 G7을 통합하는 일련의 원칙들도 있다"고 강조했다.

일단 G7 재무장관들은 올해 안에 '에너지 안보 보호에 기여할' 글로벌 공급망 다각화 방안을 마련하기로 합의했다고 한다.

13일 로이터가 입수한 공동성명 최종 초안에서 이들은 "공급망의 다변화는 에너지 안보를 지키는 데 기여하고, 거시 경제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세계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고조된 상황에서 정책을 추진할 땐 '방심하지 말고, 민첩하고 유연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밖에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시행된 금융 규제 개혁으로 금융 시스템이 '탄력적'이 됐다며 "은행 시스템의 데이터, 감독 및 규제 격차를 해소할 것"이라는 내용도 함께 담겼다고 로이터는 보도했다.

G7 재무장관들의 공동성명은 이날 오후 늦게 발표될 예정이다.

s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