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완성차 '빅3' 됐다…작년 글로벌 판매 첫 3위
토요타·폭스바겐 이어 판매 많아…2010년 5위 오른 후 12년만
톱5 경쟁사들 생산차질 속에 고급화·전동화 전략 주효
(서울=연합뉴스) 김보경 기자 = 현대차그룹이 지난해 토요타, 폭스바겐에 이어 전 세계 판매 3위 완성차그룹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차그룹의 '빅3' 진입은 지난해가 처음으로, 2010년 포드를 제치고 5위를 차지한 후 12년 만에 이룬 쾌거다.
15일 각 완성차그룹의 IR 자료를 취합한 결과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작년 전세계에서 총 684만5천대를 팔아 일본 토요타그룹(1천48만3천대), 독일 폭스바겐그룹(848만1천대)에 이어 처음으로 글로벌 판매량 3위를 차지했다.
현대차그룹 다음으로는 프랑스 르노와 일본 닛산·미쓰비시가 결합한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615만7천대), 미국 GM(593만9천대), 피아트크라이슬러와 푸조·시트로엥그룹이 합병한 스텔란티스그룹(583만9천대) 등이 뒤를 이었다.
[표] 지난해 자동차 그룹별 판매량과 판매순위 (※ 각사 발표 취합)
┌──┬─────────┬───────┬───────┬────┐
││ 자동차그룹 │ 2022년 │2021년│ 증감 │
├──┼─────────┼───────┼───────┼────┤
│ 1위│ 토요타 │ 1천48만3천대 │ 1천49만6천대 │ -0.1% │
├──┼─────────┼───────┼───────┼────┤
│ 2위│폭스바겐 │ 848만1천대 │ 857만6천대 │ -1.1% │
├──┼─────────┼───────┼───────┼────┤
│ 3위│ 현대차그룹 │ 684만5천대 │ 666만7천대 │ 2.7% │
├──┼─────────┼───────┼───────┼────┤
│ 4위│르노-닛산-미쓰비시│ 615만7천대 │ 716만4천대 │ -14.1% │
├──┼─────────┼───────┼───────┼────┤
│ 5위│ GM │ 593만9천대 │ 629만6천대 │ -5.7% │
├──┼─────────┼───────┼───────┼────┤
│ 6위│ 스텔란티스 │ 583만9천대 │ 657만9천대 │ -11.2% │
└──┴─────────┴───────┴───────┴────┘
현대차그룹의 글로벌 판매 순위는 지난 20여년간 꾸준히 상승했다.
2000년 10위로 시작했던 현대차그룹은 계속해서 순위가 오르다 2010년 미국 포드를 제치고 처음으로 '톱5'에 진입했다.
하지만 자동차업체 간 치열한 경쟁으로 만년 5위에 머물렀던 현대차그룹은 코로나 사태가 덮쳤던 2020년에야 4위에 이름을 올릴 수 있었다. 이듬해인 2021년 다시 5위로 떨어졌지만 1년 만에 두계단 뛰어오르며 3위에 안착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반도체 수급난 등으로 다른 '톱5' 완성차그룹들이 모두 판매량 감소를 겪는 상황 속에서도 유일하게 플러스 성장을 기록했다.
지난해 현대차그룹의 전년 대비 판매 증가율은 2.7%로 집계됐다. 반면 토요타(-0.1%)와 폭스바겐(-1.1%), 르노-닛산-미쓰비시(-14.1%), GM(-5.7%)은 모두 판매가 감소했다. 특히 르노-닛산-미쓰비시는 10%가 넘는 판매 감소율로 현대차와 순위가 역전됐다.
현대차그룹이 글로벌 3위에 오른 데에는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에 따른 글로벌 완성차업체들의 생산 차질이 역설적으로 한몫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또 고급 브랜드인 제네시스의 판매량이 늘고, 전기차 등 친환경차 시장에서 '퍼스트 무버'(선도자) 전략이 주효했던 것도 글로벌 순위 상승의 한 배경으로 분석된다.
특히 현대차그룹은 해외시장에서 선전했는데 지난해 미국 시장의 점유율은 10.8%로 처음으로 10%를 넘었고, 유럽에서는 역대 최고 점유율(9.4%)을 나타냈다.
판매순위 3∼6위간 격차가 크지 않은 상황에서 올해 현대차그룹이 3위 자리를 지키기 위해선 넘어야 할 산도 많다.
반도체 수급난은 완화했지만, 고금리·고물가·고환율에 따른 수요 위축은 현대차를 포함한 완성차 업계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유럽연합(EU)의 핵심원자재법(CRMA) 등 현지 생산을 압박하는 법률도 현대차그룹룹엔 부담이다.
다만 전기차 플랫폼 E-GMP가 탑재된 아이오닉5와 EV6가 올해의 차 상을 휩쓰는 등 그룹의 전동화 전환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점은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는 "글로벌 3위는 의미가 크다"며 "판매량과 실적이 모두 좋았다는 것은 양적 팽창에 이어 질적 관리도 이뤄졌다는 뜻으로, 두 마리 토끼를 잡은 셈"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올해는 경기침체와 보호주의라는 파고를 넘는 것이 관건"이라며 "제네시스 등 프리미엄차나 전기차 전략이 성공하고 있어 기대되는 면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항구 자동차융합기술원 원장은 "글로벌 3위가 미래차 경쟁력을 대변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인력이나 공급망을 늘리는 것이 과제"라고 말했다.
viv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