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정부부채 규모 확대…남유럽발 재정위기 재현 가능성"

입력 2023-01-08 11:00
"세계 정부부채 규모 확대…남유럽발 재정위기 재현 가능성"

현대경제연구원, 올해 7대 글로벌 트렌드 선정



(서울=연합뉴스) 오주현 기자 = 코로나19 위기 대응 과정에서 세계 각국의 정부부채 규모가 대폭 확대된 가운데 고금리 압력으로 각국의 채무 상환 부담이 심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특히 'PIGS(포르투갈·이탈리아·그리스·스페인)'로 꼽히는 남유럽 국가의 부채 누증 규모가 두드러져 올해 남유럽 중심의 재정 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8일 발표한 '2023년 7대 글로벌 트렌드 - 혼돈의 세계 경제'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은 7대 트렌드 중 하나로 '정부부채 과잉의 늪'을 꼽으면서, PIGS 국가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부채 누증 규모가 '2012년 남유럽 재정위기' 수준을 웃돌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2022년 그리스의 GDP 대비 정부 부채 비율은 178%로 2012년(162%) 수준을 넘어섰다.

지난해 이탈리아와 스페인의 GDP 대비 정부 부채 비율도 각각 147%, 114%로 2012년(이탈리아 126%·스페인 90%) 수준을 웃돌았다.

연구원은 "향후 유럽중앙은행(ECB)의 통화긴축 기조가 지속되면서 남유럽 국가의 채무상환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라며 "남유럽발 재정위기 발생에 따른 세계 경제 위기 발생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 밖에 연구원이 선정한 경제 부문의 트렌드는 '흔들리는 선진국'과 '위기 속에 빛나는 아시아'였다.

IMF는 올해 경기 침체 우려 속에 주요 선진국(G7)의 경제 성장률이 0.8%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신흥국은 3.7%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아시아의 성장률은 4.3%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원은 선진국의 위상이 흔들리면서 세계 경제에 미치는 선진국의 영향력이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아시아 경제는 신흥개도국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양호한 성장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정치 부문의 트렌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확산한 '탈세계화'가 꼽혔다.

산업·경영 부문에서는 '원전의 귀환'이 선정돼, 향후 세계 주요국이 탄소중립·에너지 안보 달성을 위해 원자력 발전 활용을 확대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에너지·자원 부문에서는 '춥고 배고픈 세계'가 꼽히며 기후 위기와 전쟁 여파로 글로벌 식량·에너지 위기가 심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사회·문화 분야에서는 작년 11월 세계 인구가 80억명을 돌파한 것을 고려해 '지구의 한계를 앞당길 인구 문제'가 트렌드로 꼽혔다.



viva5@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