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공장' 지위서 내려오는 중국…떠오르는 아시아 국가들
인사이더, 인도·베트남·태국·말레이시아·방글라데시 등 5개국 지목
(서울=연합뉴스) 경수현 기자 = 미중 갈등과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재조정으로 '세계의 공장' 중국의 입지가 흔들리자 이 틈을 파고들려는 경쟁국들의 기세가 만만치 않다.
미 경제매체 인사이더는 27일 인도와 베트남, 태국, 말레이시아, 방글라데시 등 5개국이 중국의 역할을 대체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중국이 40년에 걸쳐 세계화, 글로벌 공급망 통합과 함께 제조업 강국의 자리를 다져왔지만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때인 2018년께부터 미국과 무역 전쟁을 겪으면서 입지가 흔들리기 시작했다고 진단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과 중국 정부의 '제로 코로나' 정책은 세계의 투자자들에게 특정 국가에 과도하게 제조업을 의존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절실히 깨닫게 했다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다국적 기업들은 이미 중국 내 공장 시설을 이전하고 있다.
이 매체가 제시한 5개 경쟁국 중 인도에는 애플이 아이폰 제조시설을 이미 옮겨놨고, 아이패드 공장의 이전도 검토하고 있다.
월가의 투자은행인 JP모건은 지난 9월 보고서에서 오는 2025년까지 아이폰 4대 중 1대는 인도에서 제조될 정도로 애플의 인도 내 제조시설이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하기도 했다.
인도의 강점은 무엇보다 인구다. 유엔 경제사회처(UN DESA)는 7월 보고서에서 2023년이면 인도가 중국을 따라잡아 세계 1위의 인구 대국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애플은 베트남에도 아이폰 제조시설을 이미 이전했고 맥북 생산공장의 이전도 계획 중이다.
1986년 이후 경제개혁을 통해 빠르게 성장해온 베트남에는 나이키와 아디다스, 삼성 등이 제조 시설을 옮겨왔다.
동남아시아 국가 중 2위의 경제 규모를 가진 태국에는 소니와 샤프 등의 공장 이전 계획이 발표된 바 있다.
소니는 2019년 중국 내 스마트폰 공장 폐쇄 계획을 밝히면서 관련 시설을 태국 등지로 이전한다고 밝혔다.
방글라데시는 이미 중국에 이은 세계 2위의 의류 수출국이 됐을 정도로 임금 경쟁력을 무기로 의류 부문에서 해외 투자를 빠르게 끌어들이고 있다.
방글라데시 노동자의 월급은 평균 120달러(약 15만3천원) 이하로, 중국 광저우 노동자 임금의 5분의 1 수준에도 못 미친다.
말레이시아도 제조시설의 탈중국 바람을 기회로 노리고 있다. 말레이시아 정부 공식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입액은 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ev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