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30% 보호하자" COP15 타결…'부자나라 더 내라' 이견도
연 261조원 모으고 기업 보고 의무화…민주콩고 반발에 中 강행통과 논란
(뉴욕=연합뉴스) 강건택 특파원 = 오는 2030년까지 전 세계 바다와 육지 30%를 보호하고, 민·관이 거액의 기금을 낸다는 내용의 생물다양성 협약이 타결됐다.
자연 보전을 위한 역사적인 합의라는 호평이 나왔지만, 선진국들의 기여가 충분하지 않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이로 인해 일부 아프리카 국가가 끝까지 반발했음에도 주최 측이 강행 통과시켰다는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1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과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이날까지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제15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COP15)가 이와 같은 23개 보전 목표를 담은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를 채택하고 막을 내렸다.
COP15는 원래 재작년 중국 윈난성 쿤밍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연기됐다가 지난해 10월 온라인으로 1부 회의를 개최한 데 이어 몬트리올에서 2부 대면회의를 진행했다.
이번 총회에서 196개 참가국은 오는 2030년까지 전 세계 육지와 해안, 해양의 30%를 보호구역으로 정해 관리한다는 일명 '30×30' 목표에 만장일치로 합의했다. 이미 황폐화한 땅과 바다의 30%를 역시 2030년까지 복원한다는 목표도 제시됐다.
세계 각국은 공공과 민간 재원을 통해 이러한 보전 노력을 위해 연 2천억 달러(약 260조8천억 원)를 조달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그중 선진국들이 2025년까지 매년 최소 200억 달러(약 26조1천억 원)를, 2030년까지 매년 최소 300억 달러(약 39조1천억 원)를 각각 내야 한다.
그러나 개도국들은 선진국들의 재정 기여가 너무 작다고 반발했다.
특히 세계 2위 규모의 열대우림을 보유한 콩고민주공화국은 선진국들이 자연 보호를 위해 더 많은 돈을 내야 한다며 끝까지 찬성하지 않았으나, 총회 의장인 황룬추 중국 생태환경부장은 콩고의 반발을 무시하고 새벽 3시 30분께 타결을 선언했다.
이에 카메룬은 이번 합의가 강행 통과된 것이라고 비판했고, 우간다는 통과 절차를 지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고 로이터가 전했다. 라틴아메리카 국가들도 의견 불일치와 의장의 돌발 행동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다.
다만 생물 멸종이 가속화하고 황폐화하는 토지와 해양 면적이 날로 확대되는 현시점에서 나온 이번 합의 내용에 대해 환경단체와 주요 외신들은 대체로 긍정 평가하는 분위기다.
자연보호단체 연합인 '캠페인 포 네이처'의 브라이언 오도널 국장은 NYT에 "자연을 위한 엄청난 순간"이라며 "우리가 지금까지 시도해본 적이 없는 수준의 자연보호"라고 말했다.
이번에 채택된 23개 목표에는 민간 기업들도 회사 경영이 생물다양성 문제에 어떤 영향을 주고받는지 분석해 보고할 것을 의무화하는 내용도 담겼다.
이에 따라 대규모 기업과 금융기관들은 생물다양성을 증진하고 자연에 대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회사 경영, 공급망, 포트폴리오에서 관련 내용을 보고해야 한다.
또한 각국은 생물다양성에 해가 되는 보조금을 매년 최소 5천억 달러 이상 삭감하고 자연 보전에 도움이 되는 보조금을 늘리기로 했다.
농약 사용을 절반 이상 줄이고, 오염의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는 데 집중해야 한다는 내용도 담겼다.
앞으로 이러한 23개 목표를 얼마나 이행할 수 있는지가 관건이라고 외신들은 평가했다. 지난 2010년 채택된 아이치 생물다양성 목표는 시한인 2020년이 넘도록 단 한 건도 달성하지 못했다고 로이터는 지적했다.
firstcircl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